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KAI “한국형 공격헬기 문제없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양준호상무 발제문 통해 “2016년까지 가능”

KAI “한국형 공격헬기 문제없다”
AD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한국항공우주산업( KAI)은 국내 최초로 개발한 한국형기동헬기(KUH) ‘수리온’을 2016년까지 파생형 공격헬기로 개발 가능하다고 15일 밝혔다.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이 이날 주최한 ‘한국항공산업의 성공을 위한 비전 및 과제’ 세미나에서 KAI 양준호 상무는 ‘한국형 헬기 기술발전 방향’이란 발제문으로 통해 2020년까지 차세대 중대형헬기는 물론, 신개념 회전익기, 독자 소형민수헬기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한국형 공격헬기(KAH)확보 사업을 앞두고 KAI에서 공식입장을 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양 상무는 발제문에서 "현재 수리온 개발을 통한 국내 기술획득수준은 2005년기준 59%이며 2012년까지 79%를 달성할 수 있다"고 내다보고,"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할 경우 비용절감, 품질향상 등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한국형기동헬기 수리온의 국내기술은 30개 분야 1588개를 확보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격형헬기를 만들때 직접 적용 가능한 기술은 1548개로 97.5%에 이를 것으로 알려졌다. 또 T/A-50의 무장계통설계 등 5개 분야도 응용해 적용할 수 있다는 게 KAI측 설명이다.


수리온을 소형공격헬기나 무장헬기로 변형할 때는 기존 수리온기술중 1246개를 적용가능하며 적용률은 78.4%에 이른다고 양상무는 설명했다.


양상무는 “기술발전을 위해선 파생사업에 대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면서 “상륙기동, 공격헬기는 물론 성능개량사업 정책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 그는 “정부, 학계, 업체간 정보공유를 위해 상설기관 또는 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전 세계 공격헬기시장의 규모는 MI-24/35계열 노후헬기로 긴급소요만 470여대 로 추산된다. KAI는 노후 아파치, 코브라를 대체하고 미국제품 수출제한국가를 포함한다면 향후 15년간 400~600여대가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헬기산업은 타제조업 대비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약 1.5배에 달한다. 고용창출효과는 약 6만 여명이며 수입대체효과만 6~12조원이다.

KAI “한국형 공격헬기 문제없다”


KAI “한국형 공격헬기 문제없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