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C";$title="";$txt="";$size="532,354,0";$no="2009092311161838281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아시아경제신문 박소연 기자]러시아 연해주의 발해 건물지 발굴현장에서 고구려 양식의 발해 쪽구들이 발견됐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러시아과학원 극동지부 역사학고고학민속학연구소와 공동으로 연해주 중북부의 평지성곽인 콕샤로프카-1 성(城)을 발굴조사한 결과 발해 건물지의 공간배치와 쪽구들(방의 일부분을 난방하는 부분 온돌)의 특징을 확인했다고 23일 말했다.
이번 발굴의 가장 큰 성과는 발해 건물지의 공간배치 및 건물 내부 쪽구들(방의 일부분을 난방하는 부분 온돌)의 과학적인 특징을 확인했다는 점이다.
먼저 발해 건물지는 동서방향으로 나란히 3동이 붙어서 확인됐으며, 동일한 건물지가 동쪽으로도 3동이 더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을 길이 300여m 되는 돌담이 에워싸며 하나의 건물지군(建物址群)을 형성하고 있었다.
발해 쪽구들은 고래 내부에도 부넘기(재를 가라앉히는 턱)와 개자리(고래보다 더 깊게 판 고랑)를 설치하여 연기의 역류를 방지하고 불길이 잘 빨려 들어가도록 과학적으로 설계돼 있었다.
발굴된 발해 건물지의 쪽구들과 출토된 유물은 고구려의 전통을 강하게 반영하고 있다. ㄱ자로 꺾어 건물 밖에서 배연하는 굴뚝 시설은 발해 중심지였던 상경 용천부(상경성), 중경 현덕부(서고성), 동경 용원부(팔련성) 등에서 확인되며, 이전 고구려의 집안(集安) 동대자유적과 평양 정릉사지 등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또한 띠모양의 손잡이가 달린 항아리(帶狀把手附 壺)는 그 재질, 제작기법, 형태 등에서 고구려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으로 보인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성 내부에 대한 물리탐사를 실시해 발해 평지성의 전체적인 공간배치를 확인할 계획이다. 더불어 주변지역에 산재한 발해 유적의 분포양상을 밝혀 발해 영역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아시아경제 & 스투닷컴(stoo.com)이 만드는 온오프라인 연예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