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신문 박충훈 기자]
환자 정보 관리부터 원격진료시스템까지 IT기술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헬스케어 IT분야가 활성화되기 위해선 초기투자 부담과 보안 문제 등이 선결돼야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LG경제연구원이 22일 발표한 'IT 강국, 헬스케어 IT는 부진'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는 국내 헬스케어 IT의 도입과 활용이 아직 미진하며 병원정보 시스템을 중심으로 양적인 발전만 이뤄진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의료기관 규모에 따라서도 정보화에 큰 격차가 존재하며, 표준화나 개인정보 보호, 보안에 대한 인식도 매우 낮다는 것이다. 법·제도 정비 미흡, 표준화 작업 부진 등 관련 인프라 구축에 있어서도 많은 헛점을 드러내고 있다.
보고서는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사용자의 관심과 공감대를 불러일으켜야하며 신기술에 대해 비판적인 의사나 까다로운 요구 사항을 가진 소비자단체 등의 이견을 조절할 대단위 협력체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의료계·소비자·기업체 등 각 주체들이 헬스케어 IT의 기대 효과를 확신하지 못해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과 활용을 주저하고 있는 점도 문제다. 보고서는 헬스케어 IT 사업 대부분이 신서비스 분야라 재무적 효과가 불명확하므로 비용 분담 주체를 명확히 하고, 다양한 형태의 수익 모델을 개발하면 이같은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보안 강화도 해결과제 중 하나이다. 진료 정보의 교류 시에는 보통 다수의 기관이 동시에 정보를 주고받기 때문에, 만약 정보가 유출된다면 정보의 발송 주체 및 수신 주체 모두 분쟁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우리나라도 개인정보 보호와 보안을 위해 일관되고 표준화된 지침을 개발하고, 임상 혹은 비 임상 기관의 무분별한 진료 정보 사용을 관리하고 규제할 수 있는 관리 주체의 확립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박충훈 기자 parkjovi@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