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분기 적자가구 비율 급증

상위층 6년래 최고.. 중·하위층도 증가

올 2.4분기 가계의 실질소득 감소에도 불구하고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따라 지출이 늘면서 적자가구의 비율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4분기 전국 가구(2인 이상) 중 적자가구의 비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5%포인트 늘어난 27.8%로 집계됐다. 이는 2.4분기 기준으로 지난 2004년의 28.0%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2·4분기 기준 전국 가구의 적자가구 비율은 2005~2006년에 27.6%였다가 2007년 27.0%로 떨어진 뒤 2008년엔 27.2%로 오르는 등 2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올 2·4분기의 적자가구 비율이 증가한 건 가구당 소득이 명목 기준으론 0.1% 줄었지만 가계지출은 1.7%, 소비지출은 1.4%가 각각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 1·4분기의 경우 소득은 0.8% 늘었지만, 가계지출과 소비지출이 각각 2.2%, 3.5% 감소한 것과 비교할 때 최근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따라 그동안 닫혀 있던 지갑이 서서히 열리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세계 금융위기 발생 이후엔 가계 지출을 자제해 적자가구 비율이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는데 최근 들어선 지출이 늘기 시작해 상위층을 포함한 모든 계층에서 적자 가구가 늘어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 2·4분기 상위 30%의 적자가구 비율은 11.8%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2%포인트 늘면서 2003년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소득 상위 30%의 2·4분기 적자가구 비율은 2003년 10.9%, 2004년 10.8%, 2005년 11.1%, 2006년 10,1%, 2007년 10.4%, 2008년 11.6%였다.


중산층인 중위 40%의 올 2·4분기 적자가구 비율도 전년 동기 대비 0.6%포인트 늘어난 22.6%를 기록하며 2007년 2·4분기 24.0% 이후 가장 높았다.


소득 하위 30%의 경우도 2·4분기 적자가구 비율이 작년 동기보다 1.2%포인트 증가한 50.9%로 집계됐다.


그러나 경제위기로 인해 상대적으로 서민들의 어려움이 큰 상황에서 소득 하위 30%의 적자가구 비율이 상위 30%에 비해 크게 늘어난 점은 빠른 시일 내에 소득 여건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저소득층의 부담이 더 커질 수 있음을 방증해주는 것이어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대응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해 재정부 관계자는 “추석 전에 전국 근로자 가구의 5.4%인 57만4000가구에 4405억원의 근로장려금을 지급토록 한 만큼 저소득층 소득 여건 개선에 보탬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