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직장인, 휴일근무 늘고 수당지급 줄어

직장인들의 휴일근무 횟수는 늘어났으나 근무수당을 지급받는 경우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취업포털 커리어(www.career.co.kr, 대표 이정우)에 따르면 직장인 184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2.8%가 휴일근무를 하고 있으며, 이들의 휴일근무 횟수는 월 평균 3.2회로 지난 해보다 약 1회 가량 늘었다.

반면 휴일근무 수당은 일 평균 4만 8000원에서 4만 6000원으로 줄었다.


이번 조사는 주 5일제 미실시 기업의 토요일 근무, 정기 당직, 순번제 주말 근무를 제외한 평일 이외의 추가 근무를 기준으로 실시했다.

36.3%가 휴일근무 수당을 받는다고 답했으나 지난 해 조사 때보다 6.2%P 줄어들었다. ‘예전부터 지급되지 않았다’는 44.8%, ‘예전엔 지급되었으나 현재는 중단되거나 없어졌다’는 응답도 18.9%를 차지했다.


휴일근무 수당이 중단됐다는 응답은 ‘외국계기업’이 24.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중소·벤처기업(21.9%), 대기업(15.2%), 공기업(10.8%) 순이었다.


중단된 이유(복수응답)로는 ‘회사의 경영난 해소 또는 원가절감을 위해서’가 73.9%로 가장 많았다. ‘업무 효율성 제고’는 10.9%, ‘업계 형평성 고려’ 8.9%가 뒤를 이었다. ‘불법으로 수당을 타려는 직원이 많아서’란 응답도 7.5%를 차지했다.


휴일근무 수당 지급을 중지할 때 회사의 방식은 ‘휴일근무를 해도 수당을 지급하지 않는다고 통보했다’가 75.3%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휴일은 가족과 보내라는 캠페인 등으로 휴일근무를 하지 말라고 권유했다’ 14.9%, ‘휴일근무 자체를 금지했다’ 9.8% 순이었다.


휴일근무 수당이 나오지 않음에도 휴일근무를 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57.2%가 ‘과다한 업무량 때문에’를 꼽았다. ‘회사·상사가 휴일근무를 강요해서’는 48.9%, ‘비정기적인 행사나 프로젝트 때문에’ 25.3%, ‘인사평가를 잘 받기 위해’는 18.8% 이었다.

박충훈 기자 parkjovi@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