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자수첩] '입학사정관제'면 다 해결된다?

모든 교육은 입학사정관제로 통한다? 요즘 정부와 대학의 정책을 보면 떠오르는 생각이다.


교육과정 개편도 입학사정관제를 겨냥하고 있다. 개정 교육과정은 학기당 이수과목을 축소하고, 창의적인 체험활동을 강화할 수 있도록 개별 학교에 20% 가량의 수업 재량권을 주는 것이 핵심이다. 그러나 학교에 자율권을 주면 창의적인 체험활동보다는 국영수 중심의 입시교육이 더 확대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팽배하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차관이 11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러한 우려에 대해 답했다.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입학사정관제면 모든 것이 가능하다'다. 이 차관은 "과거 점수 위주의 입시제도에서는 성적위주일 수 밖에 없었지만 최근에는 입학사정관제 확대 등 입시제도가 변하면서 오히려 학교에서 인성과 창의성에 대해 강조하고 정식 교과가 돼야 한다는 수요가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또 "입학사정관제가 성공하려면 학교에서 창의적 활동이 많아져야 하고 창의적 활동이 성공하려면 입학사정관들이 점수로만 학생을 선발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결국 앞으로의 교육방향을 결정하는 교육과정 개편도 입학사정관제의 성공을 전제로 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


교육과정 개편 뿐이 아니다. 요즘 교과부의 사교육 줄이기·공교육 강화 등 모든 교육정책의 해답이 입학사정관제이고, 방법도 입학사정관제다. 그러나 교과부가 이처럼 맹신하고 있는 입학사정관제는 올해 입시에서 본격적으로 도입된 대입 전형의 한 방법일 뿐이다. 게다가 우리나라 교육현실에 합당한지 검증도 되지 않았다. 학생의 성적보다는 잠재력을 평가하겠다는 사정의 기준도 막연하고,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입학사정관에 대한 사회적인 위치나 신뢰도 자리잡지 못했다. 돈을 받고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컨설팅을 해주는 입시전문가들 조차 "올해 입시가 끝나봐야 입학사정관제에 대해 감을 잡을 것 같다"고 속내를 털어놓고 있다.


아무리 좋은 제도도 정착 과정에서 시행착오가 있고 시간이 걸린다. 교과부는 호들갑을 그만두고 올해 입시 결과를 지켜봐 주길 바란다

김보경 기자 bkk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