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KT, 매출 4조8725억..전년비 2.7%↓

KT가 합병법인 출범후 처음 내놓은 올 2분기 성적표는 나름대로 선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선전화 등 주력사업 매출감소와 신성장동력 부재로 KT의 매출은 여전히 뒷걸음치며 '성장성 한계'라는 고질적인 문제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KT는 2분기 영업이익 4834억원을 달성했다고 7일 밝혔다. 이 기간 매출은 4조8725억원, 영업 이익은 4834억원, 당기순이익은 5042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2.7% 감소한 반면, 영업이익은 49.9% 증가했다. 당기순 이익은 환율 안정에 따른 외화환산손실 감소로 무려 245%나 향상됐다.

KT는 올 6월1일 KT-KTF가 합병한 법인이어서 전년 동비 대비 실적 비교가 모호하다. 이에 따라 KT는 투자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작년 1월1일부터 합병했다는 가정 하에 가이던스 기준치를 만들었다. 이 기준치는 작년 KT와 KTF의 개별실적을 내부거래 등을 제외하고 합산해 만든 수치다.


사업별로 보면, 무선사업은 결합 및 의무약정 요금할인에도 불구하고 가입자 증가와 데이터 매출 증가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14.9% 증가한 2조5079억원을 달성했다. 전화매출은 유선전화(PSTN) 가입자 이탈이 지속되는 가운데 인터넷전화 수익 증대로 0.5% 소폭 감소에 그쳤다. 쿡(QOOK) 인터넷은 할인 상품 확대로 0.6% 줄었다. 반면, 와이브로는 넷북 인기에 힘입어 가입자수가 전분기 대비 3만4000명 증가한 21만8000명을 기록했고, 매출도 28.9% 성장했다. 쿡(QOOK) TV도 지속적인 가입자 확대로 6.3% 상승했다.

한편, 합병 후 구(舊) KTF의 6월 한 달간 실적(내부거래 제외)만 반영된 회계상의 2분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17.7% 상승한 3조5643억원, 영업이익은 1.1% 감소한 3635억원이며, 당기순이익은 184.1% 증가한 4561억원을 기록했다.


김연학 KT CFO(전무)는 "상반기에는 합병 과정에서의 조직개편과 이동통신시장 과열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원가절감과 비용 합리화를 통해 이익증대에 힘써왔다"며 "하반기에는 수익성 증대와 매출성장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합병 원년인 올해 KT가 제시한 경영목표는 매출 19조원, 영업이익 1조8000억원이었다. 규모면에선 지난해 11조6750억원을 기록한 SK텔레콤을 따돌릴 수 있지만 영업이익에서는 오히려 뒤지는 목표다. SK텔레콤은 무선사업에서만 연간 2조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거두고 있다. 이에 따라 이석채 KT 회장도 "실적 달성을 못하면 CEO를 관두겠다"며 수익성과 성장성을 모두 쫓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그러나 유선사업 매출의 누수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으며, 새로운 성장동력인 무선시장에서는 라이벌 SK텔레콤이 버티고 있는 상황에서 KT가 '수익성과 성장성'이라는 2가지 토끼를 잡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김진오 기자 jok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