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GDP 이어 전기사용량도 의문...도마 위에 오른 中 통계

예전부터 말이 많았던 중국 통계의 신빙성을 놓고 또다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의 각 지방정부가 발표한 상반기 국내총생산(GDP) 규모를 합산해보니 중앙정부가 종합발표한 수치보다 1조4000억위안(약 250조원) 많아 문제가 된데 이어 상반기 전기사용량 역시 2.24%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7.1%를 기록한 국내총생산(GDP) 성장과 상반된 결과다.

3일 징화스바오(京華時報)에 따르면 지난달 16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상반기 GDP 규모는 13조9900억위안이지만 이후 31개 성(省)ㆍ자치구 및 시 정부가 순차적으로 발표한 GDP 총액을 합산해보니 중앙정부 통계보다 무려 1조4000억위안이 더 많았다.


지방정부의 3분의 2가 8%가 넘는 성장률을 기록했다고 발표했으며 톈진(天津)시ㆍ충칭(重慶)시ㆍ쓰촨(四川)성 등 13개 지역은 10% 이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신문은 지방 정부가 실적에 눈이 어두운 나머지 결과를 부풀리기에 혈안이 돼있다고 비판했다.


더욱 기이한 사실은 중앙정부의 통계는 공식제출받은 지방정부의 통계를 집계한 것인 만큼 중앙정부의 집계 방식에도 문제가 제기될 수 밖에 없다는 것.


전문가들은 중국 공식 통계 공신력에 흠을 남기는 이런 관행을 없애야 한다며 책임자 문책론이 불거지고 있다.


또한 4일 신징바오보(新京報)는 상반기 전기사용량이 떨어졌는데 경제가 급속한 성장을 보인 점은 이상하다고 보도했다.


예전부터 이같은 지적을 받아온 중국 정부는 산업구조 개편에 따른 에너지 절감 결과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충분한 설명이 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전기사용량 감소율과 GDP성장률간 격차가 너무 크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중국의 1분기 원유 수요가 떨어졌는데 중국 경제가 성장했다는 것은 의문이라고 이의를 제기한 적이 있으며 미국 헤리티지재단의 데릭 시저스 아시아경제정책 연구원은 13억 인구의 중국이 GDP집계를 너무 빨리 집계해 신뢰하기 힘들다고 지적한 바 있다.

김동환 베이징특파원 donk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