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씨티그룹의 580억 달러(약 52조원) 규모의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함으로써 씨티그룹 지분 34%를 갖게 됐다.
27일(현지시간) 파이낸셜 타임스(FT)는 미 정부의 이 같은 조치에 대해, 금융 위기라는 대사건 속에서 정책 당국이 자국의 대형 금융기관을 구제했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한 획을 긋는 일이라며 의미를 부여했다.
씨티그룹의 비크람 팬디트 최고경영책임자(CEO)는 이날 성명을 통해 "주식 전환을 완료한 것은 씨티의 재무상태를 강화시켜 주었다는 점에서 한 '이정표(milestone)'를 제시한 것이었다"며 남다른 의미를 부여했다. FT는 씨티가 1000억 달러 규모의 유형자기자본(TCE)을 보유하게 됨으로써 재무상태가 강화된 것임에는 틀림이 없다고 전했다.
금융 위기의 소용돌이에 휘말린 씨티그룹은 작년 가을 이후 부실자산구제프로그램(TARP)을 통해 미 정부로부터 450억 달러의 자금을 지원 받고, 이 과정에서 40%에 가까운 지분을 정부에 넘기기로 하면서 국유화를 전제로 겨우 살아남게 됐다.
미 정부는 씨티의 유일한 대주주임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간섭도 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나타낸바 있다. 그럼에도 씨티는 금융당국의 철저한 조사를 받는 등 다른 대부분의 은행들보다 한층 더 심한 구속을 받아왔다.
특히 씨티는 구제 금융을 받는 과정에서 대대적인 경영 쇄신을 재촉당했다. 최근에는 뉴욕주 은행국 은행감독관 출신의 다이애나 테일러를 비롯한 사모회사 리플우드 홀딩스 CEO인 티모시 콜린스, 스탠퍼드대 경영대학원장 로버트 조스 등 3명을 신임 이사로 선임했으며, 앞서 이달 초에는 올해들어 세 번째로 최고재무책임자(CFO)를 교체하는 등 고위 경영진에 대해 가차없는 인사를 단행했다.
미 정부는 금융 위기 촉발 이후 국민의 혈세로 450억 달러의 구제금융을 투입, 여전히 200억 달러 어치의 주식 매입권을 갖고 있는 만큼 이를 빌미로 씨티에 간섭아닌 간섭을 해온 셈이다.
우선주에서 전환된 580억 달러 규모의 보통주는 향후 국부펀드와 기관 투자가들 그리고 미 정부가 보유하게 되며, 이 가운데 수십억 달러는 신주로 발행될 예정이다. 다만 이 과정에서 주당 순이익은 다소 희석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배수경 기자 sue6870@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