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GDP발표 일문일답]2Q GDP 2.3%↑...5년6개월만에 최고

김명기 국장 "자생적 경기회복 아직 불확실하다"

올 2.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 성장률이 전기대비 기준으로 7년 여만에 최고치에 달했다.


한국은행은 24일 '2009년 2.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를 통해 올 2.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가 전기대비 2.3% 성장하면서 2분기 연속 전기대비 상승세를 지속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02년 1.4분기 +3.8% 이후 최고수준이다.

그러나 전년동기 대비로는 -2.5%로 3분기 연속 역성장을 유지했지만 그 폭은 전분기의 -4.2%에 비해 크게 줄었다.


김영기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주요 원인은 승용차 구입에 따른 세제혜택, 휴대폰 판매 호조로 민간소비 호조와 LCD , 석유화학제품 중심으로 수출이 대폭 확대됐기 때문"이라며 "또한 재정지출 확대가 상당한 기여를 했다. 전년 4.4분기 이후 큰 폭의 감소세를 보여온 설비투자도 플러스로 전환됐다"고 밝혔다.

김 국장은 "내수진작책과 대중국 수출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며 "향후 빠른 재고조정과 급격한 성장에 따른 반사효과가 기대되고 있지만 수출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음은 김명기 경제통계국장과의 일문일답


-경기회복의 신호로 볼 수 있는지?


▲가장 중요한 것은 고용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고용이 빠르게 전환될 가능성이 크지 않다.


물론 자산관리가 올라가는 것에 우려도 있지만 고용이 빨리 회복되지 못하는 한 내수가 지난해 2분기 처럼 빠르게 회복되기는 어렵다고 본다.


또 상반기 재정을 집중적으로 투입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떨어져 자생적인 경제회복은 아직까지 불확실하다. 특히 수출이 우리나라 경제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세계경제가 빨리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불확실한 상황이다.
따라서 우리 경제가 과거처럼 성장세를 이어가는 것은 불확실성이 많다.


-승용차와 정부재정효과 기여도는 얼마인가. 그리고 그런 것 없이 자생적 성장률이 나왔을 것으로 추정되나. 더블딥 전망에 대해서는 조사국과 의견이 갈린다.


▲조사국에서는 우리경제의 더블딥 가능성이 없다는 의미이며 미국경제가 더블딥으로 갈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있다는 의견을 말한 것이다.


세제효과에 대해서는 승용차 세제효과로 인해 민간소비 끌어올린 것은 약 1%에 달한다. GDP 성장 기여도는 0.5% 포인트다.


자동차가 설비투자에도 들어가기 때문에 전기대비 설비투자 성장기여도가 4.4%로 추정된다. GDP기여도는 0.3% 정도 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노후차량 및 세제지원 효과는 모두 GDP 0.8%포인트 정도 된다. 재정지출 효과를 보면 전년동기기준으로 GDP는 -2.5%였는데 1.9%포인트 정도를 재정지출이 끌어올린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상당히 큰 효과다.


-3분기 이후에 기업들이 설비투자를 늘릴 수 있는 것인지?


▲설비투자 여력은 전망을 말씀하시는 것으로 보이는데 저번에 조사국에서 얘기를 한것으로 알고 있다. 따로 말씀드릴 사항은 없다고 본다.


자동차 생산과 관련 구체적인 수치는 가지고 있지 않다. 차후 알려주도록 하겠다.

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