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하늘로 날아가 잠수함 잡는 ‘홍상어’ 개발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 탑재 대잠어뢰 독자개발…미국이어 두번째


적 잠수함이 있는 바다까지 하늘로 빠르게 날아간 뒤 다시 바다 속으로 들어가 목표를 타격하는 대잠로켓(ASROC)이 국내 독자기술로 개발됐다.

국방과학연구소(ADD)는 유도탄에 실려 적 잠수함이 발견된 해역까지 날아감으로써 정확도와 사거리를 크게 높인 대잠유도무기 ‘홍상어’를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개발에 들어간 지 9년 만에 빛을 본 홍상어는 함정전투체계와 연동해 운용될 대잠유도무기로 △수직발사형 유도탄 △수직발사체계 △발사통제콘솔로 이뤄져 있으며 ADD가 2004년 개발한 경어뢰를 유도탄에 실어 쏘아올리는 방식이다.

홍상어는 길이 5.7m, 지름 0.38m, 무게 820㎏으로 1기의 값은 약 20억원에 이른다. 개발비는 1000억원.

국내에선 대잠어뢰인 청상어(경어뢰)와 백상어(중어뢰)가 개발된 상태지만 모두 물속으로 쏘는 방식이었다.

때문에 어뢰보다 먼저 적에게 닿는 어뢰음(音)을 타격목표가 미리 감지, 달아날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홍상어는 소리보다 늦을 수밖에 없는 기존어뢰 한계를 넘어선 무기로 적 잠수함이 있는 바다 위로 곧장 날아간 뒤 물속으로 들어가 목표를 타격하는 방식이다.

적 잠수함 해역 위에 닿은 홍상어는 물속에 들어갈 때 수면에 부딪히는 충격으로 탄두가 폭발할 위험을 줄이기 위해 입수직전 낙하산을 펼친다.

홍상어는 물속으로 들어가는 순간 로켓 엔진과 낙하산은 분리되고 스크루를 통해 적 잠수함으로 돌진한다.

수직발사형 대잠유도탄으로는 세계 최고수준인 홍상어는 수직발사 때 급속자세제어를 위한 고내열 성능의 추력방향조정장치인 조종날개를 적용, 선진국 대잠로켓인 ‘VLA’의 공중사거리(17km)를 넘어서는 사거리와 정확도를 가진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 특수내열 복합재를 써 유도탄 발사 때 생기는 엄청난 화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등 발사대의 내구성도 대폭 올렸다. 특히 함정이 최대치로 요동치더라도 전방위 발사가 가능토록 설계됐다.

ADD는 10여차례에 걸친 함정 실험을 통해 홍상어의 위력과 적용된 신기술의 우수성이 입증됐다고 밝혔다.

홍상어는 대잠로켓을 쏠 수 있는 한국형 수직발사관이 설치된 KDX-Ⅱ급 이상의 함정에 실을 수 있다.

배연숙 홍상어체계개발단장은 “홍상어 개발 성공으로 세계적 수준의 해군 대잠작전능력 확보 기반이 마련됐다”며 “함정 표준 수직발사체계도 함께 개발됨으로써 향후 다양한 유도무기의 함정탑재 및 운용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ADD는 곧 홍상어 양산체제에 들어갈 방침이며 이르면 내년부터 실전에 배치될 전망이다.

노형일 기자 gogonhi@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