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종대·조선대 임시이사로 학내분규 재연 조짐

사분위의 임시이사 재파견 결정에 대학들의 학내분규가 재연할 양상을 보이고 있다. 세종대는 옛 재단측의 학생회와 교수협의회등이 만들어지며 기존 학생회와 교수협의회와 충돌하고 있으며, 이미 결정이 난 조선대는 임시이사 파견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투쟁을 선포했다.

세종대는 임시이사 파견을 두고 옛 재단측 조직과 대학 구성원들이 갈등을 보이고 있다. 세종대 교수협의회와 총학생회 등 4개 단체로 구성된 '세종대 정상화추진협의회'는 정이사 선임만이 세종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세종대측은 "옛 재단측이 임시이사 파견을 주장하면서 학내분규를 조장하고 있다"면서 "이는 정이사 선임을 막으려는 구 비리재단의 음모로 밖에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들이 지칭하는 옛 재단측은 통합교수협의회와 세종사랑학생회로 일부 교수와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이들은 "임시이사 파견으로 학교를 안정화 시킨뒤 정이사를 파견할 것"을 주장해왔다. 또한 정이사 체제를 주장하는 학교 구성원들을 '좌파세력'이라고 지칭하며 이념갈등도 초래하고 있다.

조선대는 사분위의 임시이사파견에 대해 불복종을 선언했다.

'학교법인 조선대 정상화 및 전 경영진 복귀저지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지난 24일 조선대 본관 앞에서 투쟁 선포식을 갖고 "교육과학기술부가 임시이사를 파견해 비리로 얼룩진 옛 재단에 학교를 넘겨 주려는 의도를 분명히 하고 있다"며 "노동조합ㆍ교수평의회ㆍ학생ㆍ동문 등 단위별로 투쟁에 들어가 임시이사 파견을 필사적으로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사학분쟁조정위는 호시탐탐 복귀를 노리는 옛 경영진과 이들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일부 집단이 바라는 대로 임시이사 파견을 결정했다"며 "조선대가 정이사 체제 전환 자격을 충분히 갖췄음에도 임시이사 파견을 결정한 사학분쟁조정위의 결정을 보고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조선대 측은 법인에 소속된 대학과 병원, 중고등학교 등 각 단위별로 수업거부와 파업 등 앞으로의 투쟁방안을 논의한 뒤 이번 중으로 임시이사 저지활동의 구체적인 계획을 확정하겠다는 방침이다. 조선대의 반발이 확산되면 사분위에서 인선한 7명의 이사가 재파견되는 다음달 초에는 물리적 충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김보경 기자 bkkim@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