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4대강 살리기 윤곽...건설사들 수주 '군침'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윤곽이 12억5000만톤의 용수 확보와 지역 관광인프라 확충 등으로 드러났다.

이에따라 13조90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4대강 살리기 사업에 건설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세계 금융위기가 불거진 이후 민간부문을 중심으로 침체를 거듭, 건설업계의 공공 건설사업 의존율은 크게 높아졌다. 이번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비상한 관심을 쏟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4대강 사업에는 용수확보를 위한 3개의 댐 건설, 16개의 보 건설, 하구배수관문 증설 등 대형 건설사업과 하천정비사업이 포함돼 있다. 이들 사업은 6월부터 무더기로 쏟아져나올 예정이다.

송리원댐(8696억원 규모)과 보현댐(1463억원) 건설공사는 내년 착수가 유력하다. 설계와 함께 곧바로 시공에 들어가는 패스트트랙 방식으로 하더라도 올해 착공에 들어가기는 힘들어 보인다. 이들 사업은 주민공람과 기본계획 수립이 진행되고 있다.

정부의 계획은 우선 13조9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는 것으로 모아지지만 별도의 사업이 추가되며 규모가 더 커질 전망이다. 환경부는 4대강 수질을 2012년까지 2등급 90% 목표로 삼아 하수처리시설과 하수관거 교체.신설 등에 나설 계획이다. 금강 하구둑 개선사업 등도 별도 추진된다.

건설업계는 곧 나올 가능성이 높은 시설사업 가운데 따낼 수 있는 사업을 분류하고 공동으로 참여할 경우에 대비한 협력업체 검토작업에 들어갔다.

정부는 4대강 살리기 사업을 2011년까지 완료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마스터플랜이 확정되면 지체없이 사업에 착수하도록 할 계획이다.

특히 정부가 최근 공사기간 단축이 필요한 경우 건설업체가 설계와 시공을 한꺼번에 하는 턴키방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놓음에 따라 턴키형태의 공사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추진본부 관계자는 "댐이나 보 등 대형 건설사업은 턴키방식으로 설계와 시공을 한 건설사가 맡도록 하고 700억~800억원 규모의 하천정비사업은 패스트트랙 방식으로 설계와 시공을 분리해 공사에 나서도록 할 계획"이라며 "발주방식은 추후 확정된다"고 말했다.

대형 건설사들은 턴키 형태의 건설공사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하천정비사업 등은 특수한 기술이 필요하지 않아 지역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집행될 가능성이 높아 많은 투자비가 필요한 사업을 선점하겠다는 전략이다.

중견 건설사들도 4대강 살리기 등 공공부문의 수주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조직을 개편하고 토목분야의 경험이 풍부한 대형 건설사 출신 고위 임원 영입에 열을 올리는 등 준비에 여념이 없다.

또 이번에 기획재정부가 지방 건설업체 참여비율을 턴키공사의 경우 20%, 기타공사는 40%까지 참여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발표, 지역건설사들의 참여가 늘어날 전망이다.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지방 건설업체의 의무 참여비율이 높아지게 됐지만 4대강 살리기 사업은 놓치기 힘든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며 "업체간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질 것 같다"고 말했다.


소민호 기자 smh@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