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산은, "美 주택시장 부진 지속될 것"

미국 주택시장이 일부 지표 호전에도 불구하고 단기간내에 회복될 가능성이 낮다는 전망이 나왔다.

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10일 '미국 주택시장 회복 가능성 분석' 보고서에서 지난 2월 미국 주택판매 등이 호조세를 보였지만, 이것이 주택시장의 본격 회복을 알리는 신호로 보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지난 2월 미국의 신규주택 판매는 34만채로 전월대비 4.7% 상승했고, 주택매매의 선행지표인 잠정주택 판매도 2.1% 올랐다. 신규건축허가 건수는 22.2% 급등했고, 주택이 부동산시장에 나와서 팔리기까지의 기간을 나타내는 주택판매기간도 9.7개월을 기록, 3개월여만에 1.3개월 단축되면서 주택회복에 대한 기대를 부풀렸다.

산은 연구소는 그러나 "이는 압류주택 증가와 사상 최저 수준의 모기지 금리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평가했다.

미국이 양적완화정책을 시행함에 따라 현재 모기지 30년 고정금리는 4.8% 안팎에서 움직이며 사상 최저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연구소는 이러한 저금리와 미 당국의 자금 공급에도 불구하고 주택시장의 회복은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연체율과 주택압류율 증가가 주택가격 추가하락으로 이어져, 결국 주택시장이 부진을 면치 못할 것이란 분석이다. 주택담보대출의 연체율 및 압류율은 지난해 이후 급등세를 보이는 가운데 2월 현재 각각 25.1%, 12.4%를 기록하며 주택가격하락을 이끌고 있다. 또한 미국의 경기침체로 실업률이 올해말 10% 안팎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주택가격의 추가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박용하 산은경제연구소 구미경제팀장은 “주택금융시장의 여건 개선 등으로 주택지표들은 간헐적으로 호조를 보일 수 있겠지만, 결국 미국 경제의 펀더멘털이 안정화해야 주택시장의 본격적 회복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익 기자 sipark@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