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능인력 30만명 축소..건설생산기반 붕괴 우려"

"건설 분야의 기능 인력이 2년새 30만명이나 줄었고 숙련인력들이 고갈돼 건설생산기반이 무너질 우려가 있다."

심규범 건설산업연구원 박사는 이같이 기능 인력 축소가 향후 건설생산기반의 붕괴를 낳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기능 인력이란 건설업계 종사자 중 기술관리 및 사무직과는 대조적인 개념으로 육체노동자를 뜻한다.

현재 사무직은 50만~60만명, 기능인력은 130만명 수준. 최근 2년 동안 기능 인력이 20만~30만명이 줄어든 대신 사무직은 10만명이 늘어났다.

건설 육체노동자는 흔히 '노가다꾼', '일용잡부'로 이미지화 돼 있지만 심 박사는 그런 인식을 비판했다.

심 박사는 "적어도 평균 5년 정도 일을 배워야 무리 없이 일을 할 수 있는 숙련노동자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아파트나 도로 공급은 자동차 생산과 같이 완전 자동화가 불가능해 표준화, 기계화 하는 데 한계가 있어 사람이 할 수 밖에 없는 부분이 크다"며 숙련 기능 인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심 박사는 기능 인력이 점점 줄고 있는 데는 '건설 인력의 고령화'와 연관이 많다고 주장했다.

심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작년 12월 기준 40대 이상 취업자가 전체 취업자의 57%였다. 그러나 건설 기능 인력만 놓고 봤을 때는 40대 이상 비율이 72%로 나타났다. 건설 인력의 고령화가 그만큼 심각하다는 얘기다.

전문 기능 인력을 양성시키는 실업계 공업고등학교의 학생들이 대부분 대학을 가고 있는 것도 건설 인력의 고령화를 더욱 촉진시키고 있다.

심 박사는 "마이스터고 등 전문기술학교에 관심을 갖는 것, 기술 및 기능 인력들에 대한 사회적 이해와 적정한 대우가 있어야 건설 인력의 고령화를 극복하고 청년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며 해결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한편 심 박사는 최근 발표한 '이율배반의 정책..10% 예산 절감과 일자리 창출 투자'라는 논문에서 정부의 '예산 10% 절감'이란 기조가 건설업계에서는 노무비 삭감에서 일자리 감소로 이어져 문제가 되고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심 박사는 "건설업체는 업체 유지·유동 자금 확보·시공실적확보 등을 위해 낮은 입찰가를 제시해서라도 수주하려하는데, 이때 노무비를 삭감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