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부, 장애인 정보격차 해소 추진

행정안전부는 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높이는 등 정보격차해소 시책을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고 5일 밝혔다.

장애인들의 인터넷 이용률은 51.8%로 일반국민 77.1% 보다 낮은 편이다.

행안부는 우선 장애인의 정보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ICT 활용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장애 유형별로 전용 정보화교육장을 통한 집합교육을 총 3만2000명에 실시하고, 거동이 불편한 중증 장애인을 위한 1:1 맞춤형 방문교육을 4000명에게 한다.

최근 경제상황에서 취업이 어려운 장애인을 지원하기 위해 ICT를 활용한 장애인 취업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기초적인 정보활용 능력이 있는 장애인을 발굴해 기업체의 요구에 맞는 유형별 맞춤형 전문교육을 실시하여 취업을 지원하는 ICT 전문교육을 확대하고, 정보화 교육 전문 장애인 강사를 확대 양성함으로써 장애인의 실질적인 취업 기회 제공을 도모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장애인 단체 등과 협력하여 온라인 쇼핑몰을 구축·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장애인들의 자활을 돕기로 했다.

또 장애 유형에 맞는 특수키보드, 스크린리더기, 영상 전화기 등 정보통신 보조기기 지원(4000여대)하고, 중고 PC를 보급한다.

열악한 정보통신 보조기기 산업과 시장 활성화를 위해 보조기기 개발을 지원함으로써 장애인 보조기기 개발을 촉진해 나가기로 했다.

한편, 행안부는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의 본격 적용과 관련해 공공기관 등의 장애인 웹 접근성 제고를 위한 시책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박현준 기자 hjunpark@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