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내건설사, 성공하려면 '인도로 가라'

우리나라 건설사들의 인도시장 진출 확대 전략 필요성이 제기됐다.

19일 지식경제부 해외진출기업지원단이 발표한 '인도 건설시장 동향 및 진출 확대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향후 20년간 8%이상의 고도 성장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역대 최고의 인프라 투자 및 구축방안을 담은 경제개발계획을 적극 추진 중이다.

인도정부는 제11차 5개년 경제개발계획(2007~2012년)에 총 9112억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다. 전력·도로등인프라에 5140억 달러(56.4%), 특별경제구역(SEZ)을 통한 투자유치·수출증진 및 고용창출, 고속도로·교량 건설에 외국인 투자지분 100% 허용 등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연간 건설시장 규모가 1000억 달러 이상으로 급격히 확대될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글로벌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인도의 경제정상률은 2006년 9.4%, 2007년 9.6%, 지난해의 경우 9.0%로 높은 수준이며 같은기간 외국인직접투자(FDI) 역시 2006년 55억5000만달러, 2007년 157억2000만달러, 2008년 245억7000만 달러로 급증했다.

지원단은 중앙정부와 주정부의 역할관계, 규제와 인의 장벽, 복잡한 조세제도, 엔지니어 임금체계, 여론 주도층 등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뒷받침 되야 인도시장에서의 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우리기업들이 기술력과 공사경혐은 많으나 해당 프로젝트의 시공실적이 부족하거나 원천기술을 확보하지 못한 경우에는 한국전력공사 등 공기업이나 선진기업과 협력하여 수주를 확대하는 방안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특히 인도가 열악한 전력사정을 단기간에 해소하기 위해 대규모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계획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미국,프랑스,러시아의 원자력발전 관련업체의 활발한 진출이 추진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도 한국형 원자력발전소 수출 및 우리기업들의 진출 확대를 위한 정부차원의 전략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또 인도정부의 중점추진 프로젝트 참여를 통한 인센티브 확보, 우리의 도시·산업단지 개발 경험과 현지 건설엔지니어링 센터의 기술인력 활용 극대화를 통한 대규모 국책 프로젝트 등에도 참여 확대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현정 기자 hjlee303@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