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시 모든 공공장소에서 담배 못핀다

주요 시내 거리·광장·공원·음식점·학교앞 등 금연구역 지정

서울시가 비흡연자의 건강권 보호를 위해 모든 공공장소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한다.

서울시는 16일 거리와 광장, 공원, 음식점, 학교앞 등 시내 모든 공공장소를 금연구역으로 확대 지정하는 '간접흡연 제로 서울'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시는 2007년 6월 금연정류소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공원, 아파트, 택시 등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했었다.

우선 올해 조성되는 16개의 디자인서울거리와 서울대학교길, 광나루길 등 서울의 명품거리 그리고 시민의 대표적 문화·휴식 공간인 서울광장, 광화문광장, 청계광장 등 주요 광장은 모두 금연거리·광장으로 지정·운영한다.

특히 서울광장과 광화문광장은 청계천처럼 흡연금지 조례를 만들기로 했다. 청계천은 2005년 제정된 '청계천 이용에 관한 조례'에 따라 과태료가 아닌 지도를 통한 흡연금지를 유도하고 있는 지역이다.

향후 만들어지는 디자인서울거리, 거리르네상스와 연계해 서울의 모든 거리로 금연로를 확대할 계획이다.

시민들이 금연거리를 바로 인식할 수 있도록 화강석으로 디자인한 금연로고를 보도에 마킹하고 자치구와 연계한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가기로 했다.

일반음식점도 금연구역이 된다. 일반음식점에서의 흡연자들은 밀폐된 식사공간이라는 공간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주변 테이블까지 연기를 피워 타인에게 심각한 불쾌감을 유발해왔다.

시는 이번 캠페인에 참여하는 음식점엔 금연스티커를 부착, 홍보를 강화하는 것은 물론 우수 금연음식점에 대해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했다.

학교앞 200m 구간도 금연구역으로 지정된다. 시는 서울시 교육청과 협조해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는 학교금연 스토리텔링 벽화그리기 행사를 통해 간접흡연피해방지에 대한 학생과 시민고객의 적극적 관심을 유도할 예정이다.

이미 운영중인 금연 아파트·버스정류소도 범위가 대폭 확대된다.

시는 공공아파트는 금연아파트로 운영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우선 SH공사 아파트의 공동생활공간인 복도, 계단, 놀이터, 주차장 등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하고 금연아파트 현판 부착 및 운영 등 홍보활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아파트 부녀회, 입주자대표회의 등 주민들이 참여해 시민단체, 전문가, 서울시로부터 금연아파트 인증을 받고 있는 민영아파트 대상 '금연아파트 인증제'도 소규모 아파트 단지 중심에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로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금연버스정류소의 경우 2007년부터 전면 실시하고 있지만 흡연행위가 근절되지 않음에 따라 쓰레기통을 철거해 금연을 유도키로 했다.

택시 흡연도 뿌리 뽑기로 했다. 모든 택시의 금연택시화를 위해 서울시는 택시서비스 평가지표를 강화하고 택시 통합광고물에 택시 금연광고를 더욱 강조해 교체 부착할 예정이다.

조은희 서울시 여성가족정책관은 "흡연행위에 대한 법적 규제가 미흡한 현 상황에서 이번 노력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동참과 공감대 형성이 가장 중요하다"며 시민들의 적극적 참여를 당부했다.

한편, 서울시는 다음달 금연홍보대사를 위촉하고 5월16일엔 '간접흡연제로 서울 시민건강걷기대회'를 열어 간접흡연 제로 서울비전을 선포하는 등 지속적인 시민캠페인을 전개해 나가기로 했다.

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