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다음, 열린편집 알고리즘 특허 출원

다음커뮤니케이션(대표 최세훈)은 보다 신뢰도 높은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콘텐츠 가치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열린편집 알고리즘'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고 10일 발표했다.

다음이 출원한 특허는 '열린 편집에 의한 기사 편집 방법 및 기사 제공 시스템'으로 추천자들의 추천 신뢰도를 정밀하게 분석해 콘텐츠의 정보 가치를 객관적으로 분석해내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지난해 9월부터 다음 블로거뉴스 '베스트 글' 등에 적용돼 운영되고 있다.

열린편집 알고리즘은 ▲사용자들의 추천 히스토리에서 추천 신뢰도를 산정하는 알고리즘 ▲추천 신뢰도에 의해 신뢰도 높은 추천자 그룹을 형성하는 알고리즘 ▲신뢰도 높은 추천자 그룹의 추천에 의해 베스트 글(가장 좋은 글)을 찾아내는 알고리즘 등으로 구성돼있다.

다음은 "열린편집 알고리즘은 다음만의 독창적인 자동 편집 시스템"이라며 "사용자들의 추천 행위를 분석해 콘텐츠 가치를 분석하기 때문에 어떤 글이 정보가치가 높은 글인지 쉽게 찾아낼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다음에 따르면 열린편집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광범위한 참여를 기반으로 한 편집 시스템이면서도 사용자들이 이를 악용하는 것을 막는 기능을 한다. '베스트 글' 선정 과정에는 오랜 기간 축적된 신뢰도 높은 추천자 그룹이 참여하게 되며 일부 사용자들의 부정클릭 시도도 가려낼 수 있다.

특히 추천자 그룹의 추천 신뢰도 역시 지속적으로 평가해 추천 알고리즘에 반영하므로 열린편집의 질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다음은 특허 출원한 열린편집 알고리즘에 클러스터링과 검색엔진 기술을 결합해 연내 '열린편집엔진'을 선보일 계획이다.

열린편집엔진은 블로거뉴스가 확대 개편돼 오는 상반기 내에 선보일 소셜네트워크미디어(SNM) 서비스에 최초 적용된 뒤, 아고라 등 다음의 버티컬 서비스에도 순차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다음은 열린편집엔진을 통해 향후 사용자들이 모든 키워드에 대해 실시간으로 최신 글, 인기 글, 베스트 글 등을 쉽고 편리하게 찾아보고 제공받을 수 있게 돼 검색 결과의 품질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음커뮤니케이션 고준성 오픈플랫폼 TFT장은 "'참여'와 '공유'를 기반으로 개방적인 정보유통 플랫폼을 추구해온 다음은 사용자들이 편안하게 좋은 콘텐츠를 골라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번 열린편집 알고리즘을 고안하게 되었다"며 "앞으로도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가치 있는 콘텐츠뿐 아니라 신뢰도 높은 편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함정선 기자 mint@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