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 의회, 보너스 제한조치가 겨냥한 목표는?

미국 정부가 구제금융을 받은 금융회사들의 보너스 규제를 실현시킬 수 있을까.

뉴욕타임스(NYT)는 14일 상원 민주당 의원들이 마련한 경영진 연봉 제한 조항이 정부의 구제금융을 받을 금융회사 뿐 아니라 이미 지원을 받은 금융회사까지 모두 겨냥한 조치라고 보도했다.

대공황 이후 최악인 미국의 경기침체를 타개하기 위해 미 의회가 13일 통과시킨 7870억달러 규모의 경기부양법안에는 구제금융을 받은 금융회사 간부의 보너스를 강력히 규제하는 조항이 포함돼 있다.

재무부의 부실자산구제계획(TARP) 자금을 받는 대기업에서 상위 5위까지의 간부, 연봉 상위 20위 이내의 간부에게 사실상 현금 보너스는 물론 다른 형태의 성과급 지급을 금지하는 내용이다.

이들 기업의 고위 간부에게는 연봉의 3분의 1을 초과하는 보너스 지급이 금지되며 TARP 자금이 전액 상환될 때까지는 보너스를 현금화시킬 수 없도록 했다.

크리스토퍼 도드 미 상원 금융위원장은 "납세자의 혈세로 자신의 주머니를 불리려는 일부 월가의 경영진의 결정이 대중의 신뢰를 심각히 손상시켰다"면서 "납세자의 달러가 더이상 월가의 보너스로 흥청망청 쓰이지 않는다는걸 확인시키는데 이같은 강력한 새 규정이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 정부로부터 약 76억달러의 구제금융을 제공받은 PNC 파이낸셜 서비스 그룹은 임원진에게 2008년도 보너스를 지급했다고 이날 밝혔다.

제임스 로 PNC 최고경영자(CEO)는 1년 전보다 50만달러 줄어든 300만달러, 조지프 귀요우 회장은 130만달러, 윌리엄 뎀차크 선임 부회장은 124만달러, 티머시 섀크 부회장은 78만5400달러, 리처드 존슨 최고재무책임자(CFO)는 71만달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PNC 파이낸셜 서비스 그룹은 주로 제한부 주식 형태로 보너스를 제공했으며 CEO와 뎀차크 부회장, 존슨 CFO에게는 현금이 전혀 주어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김보경 기자 pobokim@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