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꽁꽁 얼어붙은 분양시장 '햇살'

"정부가 부동산 세제완화를 발표하자마자 분양사무소로 문의 전화가 북쇄통을 이루고 있어요. 마케팅직원을 더 늘려야 하는 거 아닌지 고민이예요."

민간주택건설사들이 정부의 미분양주택 매입에 따른 양도소득세 및 취등록세 완화 발표로 얼굴에 화색이 돌고 있다. 12일 발표 당일부터 미분양물량에 대한 문의전화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꽁꽁 얼어 붙었던 아파트 분양시장이 모처럼 활기를 되찾고 있다.

정부는 부동산시장 회복을 위해 지난 12일부터 올해 말까지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과 지방에 있는 미분양 및 신축주택 계약자들에게 주택 수와 관계없이 5년간 양도세 면제 또는 감면 혜택을 주기로 했다.

시장은 벌써부터 뜨거운 반응을 보이고 있다.

중대형 평형으로 갈아타기를 준비해 온 박정환(43)씨는 "앞으로는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가 사라져 싼 주택이 나오길 기대하기도 힘든 상황에서 미분양주택 사면 세금을 깎아준다니 수도권 유망지역 미분양을 알아보고 있다"고 말했다.

주택업계에서는 이번 규제 완화가 어느정도 투기를 부추길 소지는 있지만 궁극적으로 미분양 주택 해소를 통해 건설 경기 활성화를 이끌 수 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장성수 주택산업연구원 실장은 "미분양 주택 매입시 양도세를 비과세하는 정책은 외환위기 직후를 비롯해 지금까지 네 차례나 도입됐고 당시 미분양 해소에 큰 기여를 했다"며 "수도권의 양도세 혜택은 부동산시장에 사실상 투기자금을 끌어들인다는 측면에서 논란의 소지는 있지만 죽어가는 주택경기를 살리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다시 말해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확산되고 있는 미분양 사태가 해결되지 않으면 건설업체의 연쇄 부도가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이번 대책 발표로 건설회사 모델하우스에는 수도권 미분양을 중심으로 계약조건 등을 물어보는 문의전화와 함께 실제 계약의사를 밝히는 사람도 늘고 있다.

분양 대행을 하고 있는 한 업체 관계자는 "정부 발표 직후 미분양 물량을 알아보려는 문의 전화가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며 "어떤 분은 주말에 오겠다며 시간 예약을 잡자는 분도 있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또 경기 고양시에 미분양 물량을 보유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앞으로 미분양 문의전화가 부쩍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마케팅 직원을 늘려야 하는지를 놓고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투자자들의 관심이 수도권으로 몰리면서 지방 주택시장이 더 크게 위축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원갑 스피드뱅크 소장은 "지방은 시세차익이 불가능한 실수요 시장이어서 양도세 면제가 큰 의미가 없다"며 "오히려 지방 사람들의 수도권 원정 투자가 늘어날 것"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지방에 대거 미분양 물량을 보유한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일부 계약조건을 묻는 사람도 있지만 수도권 만큼 반응이 오지는 않는다"며 "관심이 수도권에 집중되다 보니 지방 미분양 해소에는 어느정도까지 도움이 될지 의문이다"고 말했다.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