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치권 입각도 2월 임시국회가 '분수령'

당 입각 배제에 술렁, 이재오 복귀도 '해법난망'

청와대 개각인사에 정치권 인사가 배제된 것으로 19일 알려지면서 한나라당 내부가 술렁이고 있다.

아직 개각이 완료된 시점이 아니지만 내심 입각을 기대하고 있었던 의원들을 중심으로 "당 의견을 너무 묵살하는 것 아니냐"는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박희태 대표 등 당 지도부가 나서서 정치권 인사의 입각이 필요하다고 주장해온터라 당내 실망감의 깊이는 크다.

친이재오계의 진수희 의원도 19일 MBC라디오에 출연해 "아직 쟁점법안 처리전이기 때문에 대통령은 당이 현 체제의 연속성을 가지는 게 좋겠다 라고 판단하는 게 아니겠냐" 면서도 "당과 정부의 소통문제가 지적되고 장관들의 정무감각 부족 문제가 있었다, 만약에 최종안이 그렇게 (정치인을 배제하면) 된다면 당에서 실망이랄까 걱정하는 의견이 나올 것이다" 고 말했다.

이처럼 개각을 앞두고 정무기능강화를 중심으로 정치권 인사의 입각이 유력시되면서 숱한 하마평이 돌았지만, 당내 일각에서는 2월 임시국회 쟁점법안을 앞둔 상황에서 정치권 인사는 배제하지 않겠느냐는 전망도 많았던 게 사실이다.

또한 이재오 전 의원의 귀국에 이은 복귀설도 일단 정치권 인사 배제의 한 요소가 아니었냐는 지적이다.

즉 이 전의원이 3월 귀국하더라도 4월 재보선에 현실적으로 참여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입각을 통한 정치권 복귀가 이뤄지면 친박계의 반발이 뻔히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 전의원이 통일부 장관이나 특임장관으로 입각후 10월 재보선에 출마하는 것이 유력한 시나리오였으나, 당내 친박계 의원들의 거센 반발이 예상되는 시점에서 맘편히 사용할 수 있는 카드는 아니라는 것.

결국 정치권에서 입각 할 경우 친이뿐만 아니라 친박계도 일정부분 배려를 해야 하는데 이것저것 따지다 보면 이명박 대통령의 '속도'를 앞세운 정국구상에 걸림돌만 되지 않겠느냐는 분석이다.

하지만 정치권 인사의 입각은 여전히 유효한 카드다.

2월 임시국회 쟁점법안 처리가 순조롭게 마무리 되면 언제든지 당 지도부와 중진의원들을 대상으로 입각이 이뤄지지 않겠느냐는 전망이다.

이번 개각이 경제부처 중심의 소폭 개각인 것도 이런 예상을 뒷받침한다.

결국 2월 임시국회가 정치권 입각을 비롯한 향후 정국 방향에도 이래저래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양혁진 기자 yhj@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