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콕!건강]지긋지긋한 축농증…'만성'되기 전에 치료하자

흔히 ‘축농증’으로 불리는 부비동염은 코 주위 뼛속의 공간인 부비동에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투해 생기는 염증성 질환이다. 감기 바이러스, 황사, 꽃가루 등이 주요 원인인데 최근에는 대기오염, 스트레스로 인한 면역력 저하 등의 이유로 환자 수가 급증하고 있다.

[이미지출처=클립아트코리아]

22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급성 부비동염 환자 수는 최근 2년간 약 2배가량 늘었다. 2021년 195만5947명이었던 환자 수는 이듬해 256만4506명으로 약 31% 늘었고 이어 지난해에는 또다시 56%가량 증가해 399만4297명까지 뛰었다.

일반적으로 부비동염은 겨울에서 봄 사이에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늦봄~초여름 사이의 발병률도 높다. 5~6월에는 한낮 기온이 여름을 방불케 할 정도로 크게 오르지만 아침, 저녁으로는 쌀쌀해 면역력이 떨어질 수 있고 초봄부터 이어진 황사, 미세먼지 등으로 인해 기관지가 민감해지기 때문이다.

부비동은 비강과 연결돼 공기를 환기하고 분비물을 배설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부비동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화농성 분비물이 고이면서 내부 점막에 염증이 발생하는 부비동염이 생길 수 있다. 주로 부비동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은 소아 및 아동에서 발병 비율이 높고 재발 및 만성화도 쉽다.

부비동염은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되는데 증상 발병 4주 이내는 급성, 12주(3개월) 이상 지속되면 만성으로 분류된다. 급성 부비동염은 코막힘 및 콧물과 함께 권태감, 두통, 미열, 안면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만성 부비동염은 코막힘, 지속적인 누런 콧물, 코 뒤로 넘어가는 콧물(후비루)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난다.

급성 부비동염은 감기와 증상이 비슷해 진단과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부비동염을 제때 발견하지 못해 적절한 치료를 하지 못하면 눈 주위 봉와직염, 경막외, 뇌막염, 뇌농양, 골수염 등 다양한 합병증 및 만성 부비동염을 야기할 수 있어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부비동염의 진단법으로는 단순 문진, 비내시경 검사, 철조법(투시법), 조직 검사, 컴퓨터 단층 촬영(CT) 등의 방법이 있다. 철조법은 부비동에 빛을 강하게 비춰서 투과되는 광 패턴을 맨눈으로 판별하는 방법이다.

부비동염과 감기는 치료법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다. 감기는 바이러스가 주원인으로 세균 감염이 의심되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항생제가 필요하지 않지만, 부비동염은 세균이 주원인으로 항생제를 충분한 기간 투여해야 한다. 따라서 감기 치료에 주로 쓰이는 약제들을 복용해도 증상이 여전하다면 부비동염을 의심해야 한다.

부비동염 치료의 기본은 약물 요법이다. 급성 부비동염과 만성 부비동염 모두 항생제 복용을 기본으로 하고 질환의 진행 정도와 증상에 따라 추가적인 약물 치료가 병행될 수 있다. 급성 부비동염 치료는 증상 완화와 만성화 및 합병증 예방을 목적으로 한다. 치료에는 경구용 항생제가 주로 쓰이며 보통 10~14일간 항생제가 투여된다. 적절한 항생제 치료 시 임상적 증상은 48~72시간 내 호전된다. 만성 부비동염도 항생제 투여가 가장 중요한 치료법이다. 하지만 약물 요법을 충분히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치료 효과가 없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부비동염 치료에는 항생제 외에도 다양한 보조 약제가 쓰인다. 코막힘, 콧물 등 개선에 도움이 되는 항히스타민제나 점액용해제, 국소용 스테로이드제 등이다. 이외에도 생활 속에서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코 세척, 가습기를 이용한 습도 조절 등이 점액의 점도를 낮춰 배액과 섬모운동을 향상하고 점막 충혈을 완화하는 등 도움이 될 수 있다.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더욱 심해진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바이오중기벤처부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