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어머니, 요양원 입소' 아내의 말…장남 남편이 '고려장' 꺼낸 사연

'시어머니 모시자"는 남편 의견에 누리꾼 비판
초고령화 사회 오면 해당 논란 더 거세질 전망

홀로 사는 시어머니를 요양원에 모시는 일로 남편과 불화를 겪고 있다는 며느리의 사연이 누리꾼 사이에서 화제다.

지난 30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시어머님 요양원'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 A씨는 "시어머니가 70대 후반"이라고 운을 뗐다. 이어 "건강 체질이 아니셔서 젊을 때부터 병치레가 잦으셨다"며, "뇌 쪽에 종양이 있으셔서 수술도 여러 번 하셨고, 지금도 뇌질환으로 입원해 있으시고 관절 때문에 움직이시는 것도 힘들어하신다"고 전했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출처=픽사베이]

A씨는 현재 시어머니 집과는 1시간 거리에 살고 있고, 시어머니가 거동이 힘들어 병원에 오갈 때 장남인 남편이 자주 찾아뵙는다고 했다. 며느리인 A씨는 시어머니가 자신을 너무 하대해서 성격 맞춰드리기가 힘들다고 했다. 더 큰 문제는 최근 들어 남편이 최근 어머니를 돌보는 일에 관해 A씨에게 자주 얘기를 꺼낸다는 것이다.

남편의 말에 A씨는 "그러면 (어머니) 요양원에 가셔야지"라고 말하자, A씨의 남편은 "내가 장남이고 어머니 나이도 젊고 정신도 말짱하신데 요양원은 절대 안 된다. 나는 못 보낸다. '현대판 고려장' 같은 느낌"이라고 거부했다는 것이다. "그러면 (다른) 방법이 있느냐"는 A씨 물음에 남편은 "큰 숙모가 장남과 결혼해서 외할아버지(시모 아버지)를 혼자 20년 케어 하셨다"고 언급했다. 이 말에 A씨는 할아버지가 치매가 온 후 숙모님이 우울증 걸린 후에야 할아버지를 요양원 보냈다고 덧붙였다.

이어 남편은 "이런 모습을 봐온 어머니 역시 ‘장남이 아픈 부모를 모시는 것’이라고 생각하실 거다. 우리 집은 보수적인 집안이라 장남이 어느 정도 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고 한다. A씨는 시어머니를 근처로 모셔서 자주 돌봐주고 싶다는 남편의 바람을 전하며 "제가 볼 때는 시어머니 혼자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는 아닌 것 같은데, 설사 그렇다 하더라도 맞벌이에 시어머니 돌보는 것까지는 자신이 없다"고 솔직히 털어놨다.

그러면서 "자꾸 합가 (얘기가 나오고), '이사 힘들다'고 하니 신경이 예민해지는 게 사실"이라며 "정 힘들면 요양원 가셔야 하는 게 매정하더라도 맞지 않나? 곧 80이신데 뭐가 자꾸 이른 나이라고. 정신은 멀쩡하신데 케어가 필요하시면 요양원은 안 가시는 거냐"라고 누리꾼들에게 물었다.

해당 글은 약 10만여회가 달하는 조회 수를 올리는 등 누리꾼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다. [사진출처=온라인 커뮤니티 '네이트판']

해당 글은 약 10만여회가 달하는 조회 수를 올리는 등 누리꾼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다. 많은 누리꾼이 "남편이 짐 싸서 들어가서 엄마를 모시고 살면 된다", "그 효자 아드님 어머니께 보내드리면 된다", "이혼 준비하세요. 그냥 이혼하던가 네가 모시라고 남자를 시어머니 집으로 보내시라. 주말부부 하시고", "거꾸로 그런 문제 생기면 사위는 아무 일도 안 한다", "요양원이 몹쓸 곳인가. 좋은 곳 많다", "와 우울증 걸릴 때까지는 모셔야 한다는 건가?" 등 댓글을 달며 A씨 글에 공감을 표했다.

반면, A씨 글에 반박하는 댓글도 일부 있었다. 한 누리꾼은 "아무리 그래도 요양원은 진짜 아니다"라며, "최근 요양원 관련 사건, 사고도 잦으니 다른 방법을 찾는 것이 좋을 것 같다"라고 반박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국내 65세 이상의 고령인구가 901.8만 명에 이르러 전체 인구의 17.5%에 달한다. 증가세로 보면 2024년에는 고령인구가 10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출처=픽사베이]

한편,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국내 65세 이상의 고령인구가 901.8만 명에 이르러 전체 인구의 17.5%에 달한다. 증가세로 보면 2024년에는 고령인구가 10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가운데 2025년에는 노인인구 비율이 20.3%로 증가하며 초고령사회에 들어설 전망이다.

이에 국내 시니어케어 시장은 눈에 띄는 성장을 이루고 있다. 2018년 8조원이었던 시장 규모는 2022년에 14.5조원으로 증가했다. 이용자 수도 같은 기간 동안 103.6만 명에서 167.3만 명으로 증가, 연평균 12.7%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2028년까지 1차 베이비부머 세대가 모두 고령인구에 포함됨에 따라, 이들이 시니어케어 시장에 본격적으로 유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슈2팀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