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네타냐후 통화 '인질석방 등 전술적 교전중지 논의'

백악관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전화 통화를 갖고 전술적인 교전 중지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고 6일(현지시간) 밝혔다.

서안지구에서 벌어지는 이스라엘 정착민의 폭력행위에 대한 책임을 물어야 할 필요성에 대해서도 네타냐후 총리와 논의했다고 백악관은 전했다. 전술적 교전 중지 모색은 민간인이 전투지역에서 안전하게 벗어날 기회를 제공하고 원조가 전달되도록 하며 잠재적인 인질 석방을 가능케 하기 위한 차원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이스라엘에 대한 확고한 지지 방침을 표명하는 동시에 군사 작전 과정에서 팔레스타인 민간인들의 피해를 줄여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하마스와 전쟁 중인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격으로 민간인 사망자가 1만명을 넘어가면서 이스라엘은 물론 미국에 대한 국제적 비난 여론이 높아진 가운데 미국이 인도적 차원의 교전 일시중지를 끌어내기 위해 이스라엘에 대한 외교적 압박을 강화하고 있는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과 네타냐후 총리는 가자지구로 반입되는 인도적 지원 물량을 대폭 확대할 필요성에 대해서 논의했으며 인도적 지원 물량 차량에 대한 검문·검색 능력을 제고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대화를 나눴다.

5일(현지시간) 가자지구 알마가지 난민촌에서 주민들이 이스라엘 공습으로 무너진 건물 잔해를 살펴보고 있다. [이미지출처=신화연합뉴스]

두 정상은 하마스에 억류된 인질들을 석방시키기 위해 진행하고 있는 노력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앞서 토니 블링컨 국무부 장관은 지난 3일 네타냐후 총리를 만난 자리에서 인질 석방 등을 위한 인도적 차원의 일시적 교전 중지를 제안했다. 그러나 네타냐후 총리는 회동 후 "인질 석방이 포함되지 않은 일시적 휴전안은 거부한다"는 입장을 밝히는 등 이에 대해 부정적인 상황이다.

다만 미국은 이스라엘과 인도적 교전 중지와 관련된 세부적인 사항을 논의 중인 상태라고 블링컨 장관은 밝혔다. 블링컨 장관은 전날 "우리(미국과 이스라엘)는 일시 (교전) 중지의 세부적이고 실무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국 팀이 함께 모여 노력하는 데 동의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도 인도주의적 교전 중지 문제에 대한 진전이 없었다는 질문에 "이 모든 것은 진행 중인 사안"이라고 답했다. 블링컨 장관은 인도적 지원에 대해서는 "며칠 내 상당한 방식으로 지원이 확대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이날 온라인 브리핑에서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로) 물건이 들어가고, 인질을 포함한 인원이 빠져나오도록 하는 데 있어 특정 목적을 위해 국지적으로 시행하는 인도적 일시적 교전 중지의 가치를 믿는다"고 말했다.

커비 조정관은 이어 지난 4일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의 이스라엘 방문 때 이스라엘이 '인질 석방이 포함되지 않은 일시적 휴전은 수용할 수 없다'고 밝힌 데 대해 "(인도적 교전 중단과 관련해) 논의가 끝난 것이 아니라 과정의 초반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커비 조정관은 현 상황에서 '일반적 의미의 휴전'을 하는 것은 적절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재차 밝혔다. 다만 미국은 전면적인 휴전은 반대하고 있다.

국제1팀 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