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바이든 전기차 정책 폐지 공약…'일자리 빼앗고 車가격 인상'

미국 공화당의 유력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 성공시 바이든 정부의 전기차 정책을 폐기하겠다고 20일(현지시간) 말했다. 인플레이션감축법(IRA)상 보조금 지원 등 조 바이든 행정부의 전기차 전환이 자동차 업계 근로자의 일자리를 빼앗고, 차량 가격 인상을 불러일으켰다고도 비판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선거운동 홈페이지에 올린 동영상을 통해 "바이든은 미국인들에게 값비싼 전기차를 구입하도록 강요하려고 치명적인 명령을 구상, 미 자동차 산업과 전쟁을 벌이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런 극단적인 좌파 정책은 미국 가계와 소비자에게 재앙"이라며 "신차 평균 가격이 5만 달러를 넘는 주된 이유"라고 비판했다. 이어 "바이든 정부가 부자들을 위해 전기차 보조금으로 수십억 달러의 세금을 지출하고 있음에도 일반 미국인들은 전기차를 살 여유도 없고 사용하길 원치도 않는다"고 덧붙였다.

전기차의 급속한 전환으로 기존 차량업계의 일자리도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한 추정에 따르면 바이든 정부의 전기차 전환으로 미국 자동차 제조업 고용이 11만7000개 사라질 것"이라며 전미 자동차 노조에 지지를 호소했다. 전미 자동차 노조는 2020년 바이든 대통령을 지지했지만, 전기차 보조금이 포함된 IRA를 이유로 이번엔 아직까지 지지 방침을 표명하지 않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바이든의 공격을 막지 못할 경우 미국 자동차 생산은 완전히 죽게 될 것"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취임 첫날 그린뉴딜 잔혹 행위를 종료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재임 당시 성과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을 거론하며 전기차 정책을 폐기 의지를 거듭 밝혔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난 첫 임기 때 재앙인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을 취소했고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의 악몽을 끝냈으며 오바마 정부가 한국과 체결한 끔찍한 통상 협정을 재협상했다"며 "끔찍한 협상에서 훌륭한 거래를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캠프는 홈페이지에서 "바이든은 미국의 자동차 산업이 일본과 한국의 값싼 수입품 홍수로 파괴되는 동안 36년간 상원에 가만히 앉아있으면서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중국이 전기차 배터리를 만드는 데 필요한 광물을 거의 독점하고 있다"면서 "제 정신이 아닌 바이든 정부는 배기가스 배출 의무를 통해 미국 자동차 산업을 중국에 의존하게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국제1팀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