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G·스텔스 핵심소재 한국서 세계 첫 상용화 돌입

재료연, 14일 민간업체와 기술이전 협약 체결

군용 비행기·함정에 쓰이는 고성능 스텔스 도료, 6세대(6G) 이동통신기술, 위성 통신망의 핵심 소재인 입실론 산화철 제조 기술이 본격적인 상업화 단계에 들어갔다.

F-35A 스텔스 전투기. 자료사진. [이미지출처=연합뉴스]

한국재료연구원(KIMS)은 14일 경남 창원 소재 본관 대회의실에서 고급 산화철 세계시장 점유율 1위 업체인 ㈜EG(대표 박지만)와 입실론 산화철 제조 기술이전 협약식을 개최했다.

입실론 산화철 제조기술은 고보자력(20kOe)을 가져 밀리미터파(50~200GHz)를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소재를 연속으로 제조하는 공정기술이다. 기존 전자파 흡수 소재는 고주파 대역에서 흡수능이 감소하거나 주파수 대역의 제어가 어려운 데 반해, 광대역 흡수능을 가진 입실론 산화철은 미래 통신 부품 소재의 핵심 소재로서 의미가 크다. 5G·6G 무선통신 및 저궤도 위성통신 부품, 스텔스, 레이더 센서 등에 사용이 가능하며, 고보자력 자성소재인 만큼 미래 모빌리티의 전장부품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다. 통신 부품에 사용되면 극고주파를 흡수해 혼선을 막아 준다. 스텔스의 경우 외부의 레이다 전파를 흡수해 반사면적(RCS)를 최소화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4.5세대급 전투기 KF-21을 자체 개발 중인데, 외부 형상은 RCS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스텔스 설계를 갖췄지만 내부 무장창을 갖지 못해 미사일이 노출돼 '준 스텔스기' 정돌 간주된다. 이와 함께 자율주행 자동차·드론의 레이다 센서에 입실론 산화철이 사용되면 잡음을 줄여 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광대역의 초고주파인 밀리미터파 흡수가 가능한 자성 소재 기술을 양산해 제품에 적용하고 있는 회사는 전세계적으로 아직 없다. 다만 5G 대역 흡수 차폐 소재를 미국, 일본, 독일 등 2~3곳에서 생산하고 있다.

이날 기술이전 협약에 따라 입실론 산화철의 상용화가 앞당겨질 전망이다. 백연경 재료연 책임연구원은 “이번 기술이전을 통해 밀리미터파 흡수 자성 소재를 상용화할 수 있다면 향후 밀리미터파를 사용하는 무선통신기기, 자율주행차 레이더 및 우주 위성 통신용 흡수체 시장에서 더욱 앞서나갈 수 있는 추진력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산업IT부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