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선충병 항공방제 ‘중지’…산림청 “드론정밀·지상방제 전환”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올해부터 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를 중지하는 대신 드론정밀·지상방제가 강화된다. 항공방제 때 사용되는 약제의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다.

산림청 강혜영 산림재난통제관이 22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 개선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

산림청은 이 같은 내용의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개선방안’을 마련해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개선방안은 올해부터 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를 중지하고 중요 보전지역과 긴급 발생지 등을 중심으로 드론정밀·지상방제를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항공방제는 2005년부터 시작돼 지난해까지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됐다.

하지만 환경단체 등은 그간 항공방제 과정에서 사용되는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의 티아클로프리드 약제가 꿀벌 등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지속적으로 제기했다.

또 최근 유럽과 미국 등지에선 네오니코티오이드 계열의 약제 사용을 제한하는 추세다.

해당 약제는 채소와 과실류 등을 재배하는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살충제의 일종으로 농촌진흥청에도 사용 가능한 약제로 등록됐다. 유해성이 명확하게 입증되지는 않지만 네오니코티오이드 계열 약제의 경우 국제적 규제와 사회적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셈이다.

이에 산림청은 지난해 9월 ‘산림병해충 약제 전문가 협의회’를 구성하고 수차례 토론회를 거친 끝에 최종적으로 항공방제 중지 결정을 내렸다. 협의회에 참여한 환경단체와 전문가 의견을 수용한 결과다.

연장선에서 산림청은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방제기관에 이 같은 결정 사항을 통보하고 드론정밀·지상방제로 항공방제를 대체할 것을 당부했다.

산림청은 방제사업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내달 드론정밀·지상방제의 사전 적정성 검토를 시작, 환경영향을 고려한 ‘전(全) 과정 관리체계’ 구축에도 나선다.

전 과정 관리체계는 방제기관의 대상지 선정을 시작으로 전문기관의 사전 적정성 검토, 방제기관의 방제사업 시행, 산림청과 방제기관의 사후관리를 아우르는 방식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산림청 제공

또 산림·농약·생태계 등 각계 전문가와의 협의회를 정례화해 산림병해충 방제 약제의 환경영향 연구 과제를 확대·수행하는 등 산림병해충 분야의 친환경 방제 기반을 지속해서 마련하겠다는 게 산림청의 설명이다.

강혜영 산림재난통제관은 “항공방제 중지는 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 약제에 대한 우려를 십분 공감해 내려진 결정”이라며 “항공방제를 대신할 개선방안이 현장에서 안착할 수 있도록 철저를 기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소나무재선충병은 감염될 시 고사율이 100%에 이를 만큼 치명적인 산림병해충이다. 산림청은 2015년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가 급속하게 확산되면서 당해 전국 2만2000㏊ 규모의 항공방제를 실시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항공방제 수요(지자체)가 감소하고 항공기 여건이 제한되면서 항공방제 규모도 해마다 줄어든 실정이다. 실례로 지난해는 제주도와 경남 일부 지역(1000㏊)에서만 제한적으로 항공방제가 이뤄졌다.

지자체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