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주기자
[아시아경제 박현주 기자] 추석 명절을 앞두고 성균관이 차례상 간소화 방안을 내놨다.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은 예가 아니며 음식 가짓수는 최대 9개면 족하다는 것이 핵심이다.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는 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차례상 표준안'을 발표했다.
성균관유도회총본부회장인 최영갑 의례정립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회견문에서 "차례는 조상을 사모하는 후손들의 정성이 담긴 의식인데 이로 인해 고통받거나 가족 사이의 불화가 초래된다면 결코 바람직한 일은 아닐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추석 차례상 표준안 발표가 가정의례와 관련해 경제적 부담은 물론 남녀갈등, 세대 갈등을 해결하고 실질적인 차례를 지내는 출발점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바랐다.
표준안에 따르면 간소화한 추석 차례상의 기본 음식은 송편, 나물, 구이, 김치, 과일, 술 등 6가지다. 여기에 추가로 육류, 생선, 떡을 더 놓을 수 있다. 전 부치기도 더는 할 필요가 없다. 성균관 측에 따르면 사계 김장생 선생의 '사계전서' 제41권 의례문해에 '밀과나 유병 등 기름진 음식을 써서 제사 지내는 것은 예가 아니'라는 내용이 나온다.
기존 차례상 예법으로 여겨왔던 '홍동백서'(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두는 것), '조율이시'(대추·밤·배·감) 등도 예법 문헌에 없다. 성균관 측은 "예법을 다룬 어느 문헌에도 '조율이시', '홍동백서'라는 표현은 없고, '과'(菓)라고만 돼 있다"며 "상에 두는 순서는 중요치 않다"고 설명했다.
성균관 측은 이밖의 상차림은 가족들이 서로 합의해 결정하면 된다고 말했다. 또 조상의 위치나 관계 등을 적은 지방 외에 조상의 사진을 두고 제사를 지내도 되며, 차례와 성묘의 순서도 가족이 의논해 정하면 된다.
성균관 측은 "예의 근본정신을 다룬 유학 경전 '예기'(禮記)의 '악기'(樂記)에 따르면 큰 예법은 간략해야 한다고 한다"며 "조상을 기리는 마음은 음식의 가짓수에 있지 않으니 많이 차리려고 애쓰지 않으셔도 된다"고 말했다.
성균관 측은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와 예법 등을 두루 고려해 이번 표준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성균관 측이 지난 7월28∼31일 20세 이상 일반 국민 1000명과 유림 700명을 대상으로 각각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 국민(40.7%)과 유림 관계자(41.8%) 모두 차례를 지낼 때 가장 개선돼야 할 점으로 차례상 '간소화'를 꼽았다.
또 국민 2명 중 1명(49.8%)이 차례를 지낼 때 사용할 음식의 적당한 가짓수로 5∼10개를 들었다. 이어 국민 24.7%는 11∼15개를 꼽았다. 유림 중 35.0%가 11∼15개, 26.6%가 5∼10개를 적당한 가짓수로 봤다.
'현재 몇 대 조상까지 차례를 지내는가'라는 질문에는 국민과 유림 모두 조부모(2대 봉사)라는 답이 각각 32.7%, 39.8%로 가장 높았다. 적당한 차례 비용으로는 국민은 10만 원대(37.1%), 유림은 20만 원대(41.0%)를 꼽은 경우가 많았다.
박현주 기자 phj0325@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