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번째 한인 美 연방고법 판사 나온다

바이든, 존 리 판사 지명

[아시아경제 백종민 기자] 재미 한인 중 세 번째이자 한인 1.5세로서는 처음으로 미국 연방 종신직 판사에 오른 존 리(한국명 이지훈) 시카고 연방법원 판사(54·사진)가 조 바이든 대통령으로부터 연방 항소법원 판사로 지명받았다.

13일(현지시간) 백악관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5명의 신임 연방 판사 지명자를 발표했다. 백악관은 리 판사를 "제7연방항소법원에서 근무하게 될 최초의 아시아계 미국인"이라고 소개했다.

리 판사가 연방법원 일리노이 북부지원(시카고 연방법원) 판사에 취임한 지 10년 만이다. 연방항소 법원은 연방고법으로도 불린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후 두 번째로 한인 인사를 연방 항소법원 판사로 지명했다. 앞서 루시 고(한국명 고혜란) 판사(53)가 제9항소법원 판사로 지명돼 상원 인준을 통과해 취임했다. 리 판사가 인준을 통과하면 제9항소법원의 허버트 최(한국명 최영조) 판사(1916~2004)와 고 판사에 이어 미주 한인 사상 세 번째 고등법원 판사가 된다.

리 판사는 1960년대 박정희 정권 시절 파독 광부였던 이선구씨와 간호사 이화자씨의 3남 중 장남으로 독일에서 태어났다. 리 판사의 가족은 그가 5세 때이던 1970년대 초 미국 시카고로 이민, 시카고 북서부 교외 도시에 터를 잡았다.

현재 시카고 교외도시에 거주 중인 리 판사는 의사인 부인과의 사이에 1남 1녀를 두고 있다. 시카고에서 초·중·고교 시절을 보내고 하버드대학과 하버드 로스쿨을 거쳤다.

그는 시카고 대형 로펌 ‘메이어 브라운’ ‘그리포 앤드 엘든’을 거쳐 ‘프리본 앤드 피터스’에서 반독점, 통상규제, 지식재산권(IP) 등과 관련한 상업 분쟁 소송전문 변호사로 활동하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 당시 연방법원 판사로 발탁됐다.

시카고에 소재한 제7연방항소법원은 일리노이·위스콘신·인디애나 3개 주의 7개 지방법원에서 올라온 사건을 다룬다. 에이미 코니 배럿 연방 대법관은 제7연방항소법원 판사로 재직하다 연방 대법관에 발탁됐다.

바이든 대통령이 이날 발표한 5명의 후보자 중 아시아, 히스패닉, 흑인 등 4명이 유색인종이었다. 사법부의 인종 다양화를 위한 행보라는 게 미 언론의 평가다.

백종민 기자 cinqange@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오피니언부 백종민 기자 cinqang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