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오징어게임' 누릴때…하청업자 신세 국내 제작사

3분기 유료가입자 438만명 증가
아태지역 220만명으로 크게 늘어

콘텐츠 가치평가제도 개선 필요
불합리한 계약제도 개선해야

넷플릭스의 창업주 리드 헤이스팅스 공동 최고경영자(CEO)가 19일(현지시간) '오징어 게임'의 초록색 체육복을 입은 채 3분기 실적 발표회에 참석했다. 사진=넷플릭스 캡쳐

[아시아경제 차민영 기자, 구은모 기자] "‘오징어 게임’은 넷플릭스 역대 최고의 TV쇼다."

리드 헤이스팅스 넷플릭스 공동 최고경영자(CEO)가 극찬한 한국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으로 넷플릭스가 3분기 활짝 웃었다. 반면 국내 콘텐츠 제작사들이 거대 자본을 앞세운 글로벌 플랫폼 기업들의 하청기지 신세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넷플릭스는 19일(현지시간) 실적과 함께 공개한 투자자 서한에서 3분기 글로벌 유료 가입자가 전기 대비 약 438만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 월가의 예상치 384만명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전체 누적 유료 회원수는 2억1400만명에 달했다. 특히 한국,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태평양(APAC)지역에서 220만명이 늘면서 가장 크게 기여했다.

이는 한국 오리지널 콘텐츠인 오징어 게임의 성과라는 평가가 나온다. 넷플릭스 창업주인 헤이스팅스 공동 CEO는 이날 실적 간담회에 오징어 게임 속 초록색 체육복 차림으로 등장해 한국 콘텐츠에 대한 찬사를 쏟아냈다. 오징어 게임은 지난달 17일 개봉 이후 4주간 전세계 약 1억4200만가구가 시청했고, 미국을 포함한 94개국에서 1위에 올랐다. 넷플릭스는 "한국에 이어 전 세계의 시대정신을 포착한 한국 이야기인 오징어 게임보다 더 좋은 예시는 없다"며 "9월17일에 출시된 이 프로그램은 우리의 가장 큰 TV쇼가 됐다"고 전했다. 현재 굿즈는 이미 제작 단계에 있으며 향후 게임까지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해 2차 저작물로 활용될 가능성도 열려 있다.

문제는 정작 콘텐츠를 제공한 국내 제작사들은 주체가 아닌 거대 자본에 귀속될 수 있다는 대목이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넷플릭스가 오징어 게임으로 벌어들인 수익은 약 9억달러(1조원)로 추산된다. 2140만달러(253억원)로 알려진 투자액의 39배에 달하는 이익이다.

이를 바라보는 국내 문화콘텐츠업계에서는 넷플릭스의 IP 독점 계약 전략이 1차 저작물의 성공은 물론 2차 저작권 수익까지 독식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한국 콘텐츠를 기반으로 막대한 매출을 벌어들이는 넷플릭스가 국내에서는 망 사용료 회피로 무임승차 논란, 조세 회피 논란이 끊이지 않는 점도 도마 위에 올랐다. 이 같은 논란은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집중적으로 다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완성된 콘텐츠 가치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는 현실을 꼬집었다. 특히 한국콘텐츠진흥원이나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주무부처에서 현실적으로 국내 중소·중견 제작사들이 해외 플랫폼들과 불합리한 계약을 맺지 않도록 법적·제도적 지원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성동규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우리나라는 스토리 구성부터 연출, 연기 인프라를 잘 갖춰졌지만 플랫폼과 자본이 부족해 확장성이 제한적이다"라며 "넷플릭스뿐만 아니라 디즈니플러스나 중국계 플랫폼 기업까지 거대 자본의 하청기지가 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짚었다.

유병한 한국소프트웨어저작권협회 회장은 "콘텐츠의 가치평가가 제대로 이뤄져야 미래 수익이라든지 성공가능성 등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함께 투자가 가능하도록 가치평가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며 "한국콘텐츠진흥원이나 문화체육관광부 등 정부에서 (제작사가) 계약도 유리하게 할 수 있도록 법률 지원 등을 해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구은모 기자 gooeunmo@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4차산업부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4차산업부 구은모 기자 gooeunm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