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무연고사 리포트]외롭고 쓸쓸히 떠난 무연고 사망자 지난해 3025명

<1>전국 무연고사 지도

지난해 무연고 사망자 하루 평균 8명
5년간 수는 1만757명
경기가 가장 많고 서울과 부산 순
기초단체에선 영등포구가 최다

[아시아경제 특별취재팀=고형광 팀장, 유병돈 기자, 정동훈 기자, 이정윤 기자] 사회와 단절된 채 홀로 죽음을 맞이하는 이들은 무연고(無緣故)사망자로 분류된다. 살아서도 죽어서도 외롭고 쓸쓸한 길을 간다. 가족이 있어도 고인의 시신 인수를 거부하거나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 초고령화와 사회양극화, 1인 가구 증가 등에 코로나19 상황까지 겹치면서 무연고 사망자는 매년 늘고 있다.

아시아경제 특별취재팀이 229개 기초단체를 전수조사해 보니 지난해만 무연고 사망자로 분류된 이들이 3025명, 하루 평균 8명꼴이다. 몇 해 전만에도 한해 1000명대 였다가 2018년 2000명대, 2년 만에 3000명대로 늘어난 것이다. 5년간 무연고 사망자수만 1만757명이다. 이는 사망 연도와 나이를 추정할 수 없는 사망자까지 모두 포함한 것이다.

광역단체(작년 기준)로는 경기(2140명), 서울(2022명), 부산(1042명), 인천(967명) 등의 순을 보였다. 기초단체에선 서울 영등포구(35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인구 10만명 당 무연고 사망자수 비율로 따져본 무연고사 지수에서는 서울 중구가 가장 높았다.

무연고자는 생전에는 정부, 지자체, 복지시설, 주변 등에서 여러 도움을 받는다. 하지만 이런 손길은 '사후'에는 사라진다. 아시아경제 특별취재팀이 만난 무연고자들의 대부분 생전보다 죽음 그 후를 걱정한다. 살아서 무연고사를 대비하는 이들도 있다. 무연고사가 사회문제가 되는 이유는 고령층이 아닌 전 세대의 문제여서다. 고령층이 여전히 많지만 2030 젊은층도 한해 수 십여명이 무연고로 사망한다.

무연고사가 복지, 정책의 사각지대가 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제대로 된 통계가 없기 때문이다. 중앙정부 단위의 관리 정책은 전무하고, 각 기초자치단체의 재량에만 맡겨지고 있다. 이 마저도 유명무실하다. 무연고 사망자를 담당하는 부서도 제각각이고 그나마 있어도 산더미처럼 쌓인 업무 중 하나다. 무연고자에게 '요람에서 무덤까지'는 공허한 메아리이다.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유병돈 기자 tamond@asiae.co.kr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사회부 유병돈 기자 tamond@asiae.co.kr사회부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사회부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