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 최대규모' 투자 공언한 삼성…미국 행정부도 반색(상보)

한미 정상회담 계기 韓기업 44조원 미국 투자 중 20조원 들여
신규 파운드리 공장 증설 계획

21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 미 상무부에서 열린 한ㆍ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행사에 러몬도 미국 상무장관이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김흥순 기자] ]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국내 4대 그룹이 미국에 40조원이 넘는 투자를 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단일 최대 규모인 20조원 투자를 공언한 삼성전자의 결정에 미 행정부도 환영의 메시지를 전했다.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은 21일(현지시간) 오전 미 상무부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마무리 발언에서 "모든 산업 분야의 핵심 근간이 역시 반도체이고, 반도체 공급망의 취약성 극복이 현재 가장 중요한 과제"라며 특히 삼성전자의 투자에 환영 의사를 표명했다. 러몬도 장관은 또 "미국이 반도체 지원 법안에 포함한 인센티브가 한국 기업의 투자에도 적극 지원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언급했다. 이 같은 발언은 방미 중인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현지 브리핑을 통해 알려졌다.

삼성과 현대차, SK, LG 등 국내 4대 그룹은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반도체와 배터리, 전기차 등 주요 분야에서 394억 달러(약 44조원) 규모의 미국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이 가운데 총 170억 달러(약 20조원)를 들여 신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구축하겠다고 약속한 삼성전자의 투자액이 가장 많다. 이는 삼성전자의 단일 투자로는 역대 최대 규모다. 앞서 삼성전자는 2012년 중국 시안1공장에 약 12조원, 2017년 시안2공장에 약 8조원을 투자한 바 있다.

삼성전자의 미국내 신규 파운드리 공장이 들어설 후보지는 정해지지 않았다. 주 정부와의 세제혜택 등 협상을 이어가고 있어서다. 이미 현지에 파운드리 공장을 가동 중인 텍사스 주 오스틴이 신규 공장의 유력한 후보지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지만 삼성 측은 "결정된 바 없다"는 입장이다.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을 총괄하는 김기남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 부회장은 이날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 "최근 디지털 가속화로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 반도체 없이 5G나 인공지능과 같은 미래산업은 발전하기 어렵다"며 "한미 반도체 공급망 강화에 대해 미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그러면서 "170억 달러 규모의 신규 파운드리 투자를 계획하고 있는 만큼 조만간 좋은 소식이, 구체적인 소식이 있을 것"이라며 "이를 통해 양국 경제에 기여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현대차는 미국 내 전기차 생산과 충전 인프라 확충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 2025년까지 74억 달러(약 8조3000억원)를 투자하기로 했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은 약 140억 달러(약 16조원) 규모의 현지 합작 또는 단독 투자를 추진하기로 했다. SK하이닉스도 10억 달러(1조1000억원)를 들여 실리콘밸리에 신성장 분야 혁신을 위한 대규모 연구개발(R&D) 센터를 설립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이날 한미 정상회담을 마친 뒤 "미국에 4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약속한 한국 기업에 감사하다"며 현장에 있는 한국 기업인들에게 거듭 감사를 표했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