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매물 씨가 말랐다…노·도·강 '분노매수'에 신고가 속출(종합)

문 대통령까지 나서 대책 지시했지만
강남도 외곽도 호가만 상승

6일 서울의 한 부동산중계사무소 모습/김현민 기자 kimhyun81@

"(추가 대책에는) 관심도 없어요. 어차피 서울에 주택이 공급되는 것도 아닌데…. 오히려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두면서 호가만 뛰고 있어요."(서울 잠실동 A공인 관계자)

문재인 대통령까지 직접 나서 강력한 부동산 추가 대책 마련을 지시했지만 지난 주말 서울 주요 지역에서는 호가 상승과 매물 잠김이 이어졌다. 정부가 다주택자 보유ㆍ거래세 부담 강화 외에 공급 확대를 예고했음에도 강남권은 물론 중저가 주택이 밀집된 외곽 지역도 동시다발적으로 들썩이며 집값에 대한 불안이 확산되는 분위기였다.

◆강남 집주인 매물 거둬 '거래실종'…호가만 상승

지난 주말 아시아경제가 취재한 서울 주요 지역에서는 아파트 매도 호가 상승세가 계속되는 것은 물론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이면서 매물 자체도 많지 않은 상황이었다. 지난 2일 문 대통령이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실수요자에 대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다주택자 등 투기성 주택 보유자 부담을 강화하라"고 지시하면서 이르면 이번 주 추가 대책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지만 시장에서는 좀처럼 집값 상승세가 주춤할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집값 상승기에 전형적으로 나타났던 매물 잠김 현상이 본격화하는 분위기다.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송파구 잠실동은 거래가 끊긴 가운데 호가만 뛰고 있다. 잠실동 A공인 관계자는 "거래가 끊겼다고 보면 된다"고 전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토지거래허가제가 시행된 지난달 23일 이후 이들 4개 동에서는 아파트 실거래 신고가 단 4건에 그쳤다. 모두 대지 지분이 18㎡ 이하여서 허가 면제 대상이다. 하지만 거래허가제가 가격은 전혀 묶어두지 못하고 있다. 잠실동 B공인 관계자는 "호가는 오히려 오른 상태"라며 "대부분 매도자들은 호재가 확실한데 급하지 않으면 버티는 게 낫다고 생각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가격 상승은 상대적으로 매물이 많은 신축 대단지로도 번지고 있다. 최근 입주한 강동구 고덕동 일대 아파트들은 84㎡ 기준 15억원 아래에서는 매물을 찾기 힘들 정도다. 그동안 남아있던 매물이 주말 새 빠르게 소진되면서 호가가 뛰는 분위기다. 매물을 확보하려는 중개업소들의 문의가 늘자 집주인들도 추가 상승 기대감에 경쟁적으로 가격을 올리고 있다는 것이 중개업소들의 전언이다. 이 지역 C공인 관계자는 "당장 입주 가능한 물건은 매도자들이 16억5000만원까지도 부른다"며 "일반적으로 대단지 신축 아파트의 경우 매수자 우위 시장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이라고 설명했다.

'학군 1번지'로 불리는 강남구 대치동에서는 우려됐던 전세난이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대치동 은마아파트 인근 D공인 관계자는 "실거주 2년을 채우지 못한 집주인 상당수가 기존 계약이 만료되면 세입자를 내보내고 전입신고를 하겠다는 분위기"라며 "조만간 전세난이 본격화될 것 같다"고 우려했다. 그는 또 "그나마 있는 전세 매물도 반전세로 바꾸려는 집주인이 많아 세입자 부담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노도강 너마저…7월3일 실거래 등록된 노원구 아파트 83건 중 27건 신고가

심지어 노원ㆍ도봉ㆍ강북구(일명 노도강) 등 서울 외곽지역 아파트는 매수세가 몰리면서 신고가가 속출하고 있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더 오르기 전에 사두자는 추격 매수세가 대부분이다. 현지 중개업계에서는 정부 정책에 대한 실망감이 반영된 '분노의 매수세'라는 표현까지 나오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3일 하루 실거래 등록된 노원구 아파트 83건 중 무려 27건이 신고가였다. 지난달 26일 상계동 주공 11단지 59㎡는 직전 거래가 4억6800만원을 넘어서 5억원을 기록했다. 인근 비콘드림힐3단지 84㎡는 지난달 25일 7억원 신고가로 손바뀜했다. 직전 거래가인 5억7000만원을 1억3000만원이나 경신한 가격이다. 중계동 건영2차 75㎡는 지난달 19일 6억2000만원에 거래돼 직전 거래가 5억7000만원을 뛰어 넘었다. 이 지역 E공인 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 발언 이후로도 이 인근 시장의 상황은 바뀐 게 없다"며 "심지어 일부에서는 7억6000만원선인 이지역 3단지 59㎡ 값이 정권 말기에는 9억원까지 뛸 것이라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현지에서는 그동안 마포ㆍ용산ㆍ성동구(마용성), 광진구가 주도했던 강북권 집값 상승을 중저가 아파트가 밀집한 노원구가 주도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하계동 F공인 관계자는 "최근 들어 호가 오름세가 더 가팔라졌다"며 "매물 품귀도 심해서 두자릿수 매물이 있는 단지가 드물 정도"고 귀띔했다.

실제로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기준 서울 강북 대부분 지역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전주보다 더 커졌다.노도강을 포함하는 동북권 상승률은 전주 0.06%에서 0.07%로 더 올랐고, 은평ㆍ서대문구 등이 포함된 서북권 역시 0.04%에서 0.06%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금천ㆍ관악ㆍ구로구(금관구)가 포함된 서남권은 직전주(0.08%) 대비로는 상승률이 줄었으나 여전히 0.07%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금천구 독산동 G공인 관계자는 "최근 매도자가 계약금을 배액배상하고 계약을 취소하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며 "급하지 않은 물건은 팔지 말고 기다려보자는 생각에서 매물을 거두거나 호가를 크게 높인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공급을 확대하겠다고 하지만 결국 서울을 대체할 만한 시장은 없다는 것이 이미 시장에서는 경험을 통해 학습된 상태"라며 "서울의 공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방안이 나오지 않는한 대책의 효과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임온유 기자 ioy@asiae.co.kr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건설부동산부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건설부동산부 임온유 기자 ioy@asiae.co.kr건설부동산부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건설부동산부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