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신약개발 갈수록 발전, 국내선 활용 뒤쳐져'

국내외 AI 전문가 "데이터 확보 관건…오픈이노베이션 생태계 구축해야"

[아시아경제 조현의 기자]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 개발은 올해보다 내년, 내년보다 내후년이 기대된다." AI 기반 기술을 이용해 신약 물질을 연구·개발하는 바이오 벤처기업 스탠다임의 공동 창업자 송상욱 박사는 7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서울 강남구 르 메르디앙 호텔에서 개최한 'AI 파마 코리아 콘퍼런스 2019'에서 "올해는 AI가 신약개발에 적용되는 기술의 임팩트(충격)가 어느 해보다도 컸다"며 이같이 말했다.

송 박사는 "신약 개발에서 AI는 단순히 이론 제시를 넘어 역할이 증명되고 있다"며 "갈수록 할 수 있는 일이 많아지고 있어 가파른 성장을 전망한다"고 했다.

국내외 전문가들은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은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는 게 관건이라고 입을 모았다. 데이터 노이즈(Noise)가 많고 일관성이 없는 데다 세부 문제와 관련된 데이터는 많지 않기 때문이다.

김재영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 책임연구원은 "AI 신약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자체가 부족한 게 현실"이라고 했다. 김병찬 슈뢰딩거 책임연구원도 "후보물질 타깃 발굴을 처음 시작할 때 데이터가 거의 없어 AI를 적용하고 싶어도 하지 못하는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국내에선 신약 개발 과정에서 이런 논의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김 연구원은 "외국에선 신약개발 과정에서 인공지능을 사용하기 시작했지만 국내는 아직 많이 뒤처진 게 현실"이라며 "국내 제약사들이 인공지능에 대한 전문성과 이해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데이터 공유 등 협업 환경이 마련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몰레큘 프로토콜의 폴 콜하스 대표는 콜하스 대표는 "약물 개발 모델은 협업에 대한 인센티브가 거의 없이 폐쇄적"이라며 "지식재산권을 개방하고 공유하도록 해 추가적인 혁신과 개발을 가속할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김 연구원은 "해외에서는 각각 제약사의 기밀은 유지하면서도 더 많은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논의에 나서기 시작했다"며 "국내에서도 제약사, 신약개발 회사, IT 회사 등이 협력하는 오픈이노베이션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현의 기자 honey@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4차산업부 조현의 기자 hone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