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 증시]밖은 英브렉시트·美中갈등…안은 '정부 의존도↑·기업↓'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오는 19일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재협상 시한까지 영국과 유럽연합(EU)의 재협상 타결이 쉽지 않다는 우려와 미국의 중국의 추가 협상 불확실성 등 나라 바깥의 재료들이 전날 세계 증시를 누른 가운데 서울의 증권가에선 한국경제의 체질을 돌아보면서 성장 동력(모멘텀)이 크지 않다는 내용의 분석을 게재했다. 그나마 신흥국 반등을 기대해볼 만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인도와 베트남이 눈에 띄지만, 한국도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신흥국으로 묶이는 만큼 신흥국 시장이 뜨면 외국계 기관투자가 등의 패시브 펀드 자금 유입 등이 늘 수 있다.

직전 거래일인 지난 1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11%(29.23포인트) 하락한 2만6787.36에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0.14%(4.12포인트) 내린 2966.1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1%(8.39포인트) 하락한 8048.65에 거래를 마쳤다.

같은 날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전 거래일 종가 대비 0.46% 하락한 7213.45에 마감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0.20% 내린 1만2486.56으로,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도 0.40% 하락한 5643.08로 각각 장을 마감했다. 범유럽지수인 유로 Stoxx 50 지수의 종가는 0.38% 하락한 3556.26이다.

한국의 코스피지수는 전일 대비 1.11%(22.79포인트) 상승한 2067.40에, 코스닥지수는 1.34%(8.51포인트) 오른 641.46에 마감했다.

◆김희원 신한금융투자 연구원= 세계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부채의 비율이 늘고 있다. 미국이 7월 한시적인 부채 한도 증액에 합의했으며, 한국은 슈퍼 예산안을 발표하는 등 정부 부채 증가세가 내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세계 경기 둔화 우려 속에 각국 정부들은 과거와 달리 복지 등 사회 보장성 지출과 인프라 투자 등을 집행하며 공공 주도의 성장을 꾀하고 있다. 금융위기 이후에는 세계 주요국의 재정정책에 경기 흐름이 좌우되고 있다.

내년에도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국의 재정 확장 기조는 유지된다. 미국은 연방 의회가 재량으로 정할 수 있는 재량적 지출이 외교안보와 복지 분야를 중심으로 전년 대비 3.8% 증액된다.

유로존은 경기 하강 압력 속에 재정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독일과 네덜란드 등을 중심으로 재정지출 확대가 논의되고 있다. 중국 또한 지방정부 특수채 발행을 확대하고 감세 등을 통해 소비 촉진에 나선다.

이들의 재정정책은 공공부문이 경기를 주도하는 흐름을 뒷받침한다. 내년에도 경기 하단은 견고히 지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정원일 유안타증권 연구원= 한국의 GDP 계정상 투자의 흐름은 다른 국가보다 더 크게 둔화했다. 왜 그럴까. 한국처럼 대외의존도가 높은 대만, 독일 등과 달리 지난 3년여간 한국의 설비투자증가율은이 급락한 것은 소득주도 성장 정책의 요인이 컸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기업 입장에선 생산요소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으로 작용해 상대적으로 노동에 대한 비용이 늘면 다른 비용인 자본에 대한 비용을 줄이려 하게 된다.

기업은 자본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시설투자 등에 소극적인 움직임을 보일 수밖에 없었다. 기업 규모별 설비투자계획을 보면 300인 이하 사업장의 지난해와 올해 증가율은 각각 11.59%, 22.31%였지만, 5000인 이상 사업장은 -7.88%, 1.81%에 불과했다.

16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 주목해야 한다. 금리 인하로 기업투자가 늘 수 있어서다. 신용경색을 막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 금리인하에 따른 기업의 시설투자 증가 가능성이 있다.

◆이재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 4분기 신흥국 시장은 미중 무역분쟁 '스몰딜 타결'에 따라 최악의 상황에서 벗어난 모습이다. 연초 이후 처음으로 신흥국 시장 이익 반등세가 나타나고 있다. 미중 분쟁 민감도가 높은 IT 부문이 눈에 띈다.

4분기 미국은 기초 체력(펀더멘털) 측면에서 소비 시즌 등 덕분에 힘을 받을 것이다. 신흥국 시장은 통화 및 재정정책의 우위를 점한 국가를 선호하게 된다. 결국 변수는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이다.

통화정책은 대부분 신흥국의 인플레 압력이 낮은 만큼 각국이 비슷하다. 결국 재정정책인데, 현재 스탠스를 강화하는 나라들은 중국,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다. 하나금투는 신흥국 중 인도와 베트남을 최선호 투자국가로 추천한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자본시장부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