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최고급 인재 데려오려면 교수·기업 겸직 허용해야'

정송 KAIST AI대학원장, 제4차산업혁명시대 인력양성방안 토론회 발표
"해외 유명 교수들은 구글·페이스북 등에 공동 소속인 경우 많아"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인공지능(AI) 분야 최고 인재를 국내 대학 교수로 영입하기 위해서는 기업내 직함과 교수직을 동시에 맡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구글, 페이스북 등 해외 최고급 정보기술(IT) 기업에서도 이미 유명 교수들을 내부 기술 책임자 등으로 겸직시키는 만큼 재정 지원의 한계가 있는 국내 대학과 기업 간의 연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정송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공지능(AI)대학원장은 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4차산업혁명시대의 인력양성 방안 -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토론회에서 이 같이 강조했다. 정 원장은 "현대 AI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제프리 힌튼 토론토대 교수는 교수 연봉 외에도 구글 브레인을 이끄는 대가로 구글로 부터 100억원 가량의 연봉을 받고 있고, 세계적인 수준의 AI 학자 반열에 오른 조경현 뉴욕대 교수도 페이스북의 연구직도 겸하고 있다"며 "학교의 재정이 제한적인만큼 기업과 연계해야 하며, 함께 인재를 확보하려고 해야 진짜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때문에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들을 단순히 기업과 대학 한 곳에 묶어두는 것은 인재 수급 경쟁력을 오히려 떨어뜨리는 일이라는 지적이다. 정 원장은 "세계 유수의 학교와 기업을 돌며 AI 대학원에 영입할 인재를 찾는 과정에서 느낀 것은 이 같은 인재들은 기업 보다는 학교를 선호한다는 점"이라며 "회사에 가면, 특히 국내 기업들의 경우 자율성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국가 차원의 지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업 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도 기본적으로 AI 대학원 등에게 인재 수급과 인프라 확보를 위해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정 원장은 "학교가 제안할 수 있는 연봉은 한계가 있다"며 "100억원씩 10년간 투입되는 대규모 국책 과제 등 다양한 사업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정한 AI대학원에는 학기당 10억원 가량의 지원금이 주어지는 실정을 염두한 것이다.

다만 AI 인재 배출에 급급해 양적 확장만을 노린 정책은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 원장은 "AI 대학원은 국내 AI 정책과 교육을 이끌 최고급 인재 배출이 목표이기 때문에 단순 숫자에만 몰두하면 안 된다"며 "하고 싶은 것과 할 수 있는 것의 차이를 인정하고 선택적으로 집중 투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4차산업부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