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마감]반도체 부문 상승 랠리에 S&P·나스닥 사상 최고치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뉴욕=김봉수 특파원] 미국 뉴욕증시는 24일(현지시간) 기술대기업들에 대한 규제 당국의 감독 강화 등 악재에도 불구하고 반도체칩 부문의 주가 상승 랠리에 힘입어 일부 주요 지수가 소폭 상승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 대비 79.22포인트(0.29%) 하락한 2만7269.97에 거래를 끝냈다. 그러나 S&P500지수는 전장에 비해 14.09포인트(0.47%) 상승한 3019.56을 기록해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전일보다 70.10포인트(0.85%) 올라 8321.50으로 최고 기록을 갈아 치웠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반도체 주 중심의 상장지수펀드(ETF)는 전날 대비 2.7% 올라 최고치를 기록했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사의 주가가 이날 2분기 실적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예상치를 웃도는 좋은 결과를 내면서 전장 대비 7.4% 상승하면서 반도체칩 부문의 상승세를 이끌었다. UPS와 AT&T도 강한 실적으로 상승세를 탔다. 택배회사인 UPS는 이날 하루 항공 배송서비스이 높은 호응을 받으면서 2분기 매출액과 수익이 전문가 예상치를 웃돌았다고 발표했고, 전장 대비 주가가 9% 이상 상승했다. 이동통신회사인 AT&T사도 2분기에 순가입자가 증가했다는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전장 대비 주가가 3.3% 뛰었다.

반면 이날 다우지수는 보잉와 캐터필라 등 대형주들이 2분기 실망스런 실적을 보고하면서 하락을 면치 못했다. 보잉은 이날 2분기 실적 보고서를 통해 737맥스 기종의 운항 제한 와중에 2건의 추락사고로 인한 소송 등으로 큰 손실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후 보잉의 주가는 전날 대비 3.3% 추락했다. 보잉은 또 737맥스 기종의 운항 중단이 계속될 경우 생산을 중단해야 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캐터필라의 주가도 비용 증가를 이유로 2분기 수익ㆍ매출액이 예상보다 저조하다는 발표가 나오면서 전장 대비 4.1% 하락했다. 중국에 생산 공장을 둔 캐터필라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관세 부과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놓인 대표적 기업이다.

뉴욕증시의 2분기 기업 실적 발표는 전체적으로는 좋은 출발을 보이고 있다. 펙트세트에 따르면, S&P500지수 소속 기업 중 지금까지 약 25%가 2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 이중 78%는 예상보다 나은 수익을 보고했다. 이날 장이 끝난 후엔 페이스북과 포드 자동차, 페이팔, 테슬라 등의 2분기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다.

월가는 또 전날 미 법무부가 발표한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 모회사 알파벳 등 기술 대기업들에 대한 반독점법 위반 혐의 조사 개시에 대해서도 주목했다. 이중 아마존과 페이스북은 장 초반 하락세를 보였지만 반전해 소폭 상승한 채 장을 마감했다.

전날 뉴욕증시는 미ㆍ중 무역협상이 다음 주 초 중국 상하이에서 재개된다는 소식에 상승세를 탔었다. 그러나 이날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부 장관은 CNBC방송에 출연해 "두 나라가 해결해야 할 많은 쟁점들이 있다"면서 "워싱턴DC로 돌아와 협상을 계속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으며, 가능한 한 진전을 이어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국제유가는 이날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와 최근의 지속적인 상승에 따른 조정세로 하락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9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1.6%(0.89달러) 내린 55.8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9월물 브렌트유도 오후 3시30분 현재 배럴당 1.03%(0.66달러) 하락한 63.17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국제금값은 소폭 올랐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금은 전날보다 온스당 0.1%(1.90달러) 오른 1423.6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뉴욕=김봉수 특파원 bskim@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뉴욕=김봉수 특파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