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화 시행착오 줄이려면 대기업 협력 필수'

[갈길 먼 부품·소재 국산화]
김상용 한국폴리텍대학 교수 "홀로서기 할 절호의 기회"

김상용 한국폴리텍대학 반도체학과 교수

[아시아경제 한진주 기자] 김상용 한국폴리텍대학 반도체학과 교수(사진)는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는 홀로서기를 할 절호의 기회"라며 "결국 미래의 살 길은 국산화와 다변화"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반도체 소재나 장비, 부품의 경우 일본보다 2~5년 뒤처져 있는데 반도체 장비로까지 규제가 확대되면 더 심각한 상황에 이를 수 있다"며 "반도체 소재는 국내 협력업체의 불화수소를 적용하면 수율이 다소 불안정하더라도 테스트 결과나 적합성에 큰 문제 없이 국산화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하이닉스반도체(현 SK하이닉스) 연구소에서 10년 근무하고 아남반도체(현 동부하이텍)에서 12년을 근무한 반도체 연구자 출신이다.

김 교수는 국산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원천기술을 보호해주면서 대기업이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 연구에 나서는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대기업 입장에서는 중소기업이 기술을 개발하더라도 적용 과정에서 공정ㆍ적합성ㆍ인증 평가를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호 신뢰와 동반 성장이라는 선순환 구조가 자리 잡지 못하면 국산화 기술ㆍ제품이 사업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김 교수는 "김대중 정부 당시 반도체 칩 제조사와 협력업체 간 상생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한 것처럼 협력업체는 반도체 칩 제조사가 원하는 소재 기술을 개발ㆍ제공하고 칩 메이커는 제품에 대한 사명감을 갖고 피드백을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산화나 다변화한 제품은 평가를 간소화하고 대기업들끼리도 평가 결과를 공유해 복잡성을 간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정부가 반도체 분야 상생 TF를 통해 부품ㆍ소재 산업 독립선언을 준비해야 한다"며 "중소기업이 개발하는 소재를 평가하고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공동 반도체 실습장을 만들고, 정부가 제조ㆍ기술 기반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을 육성하는 차원에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기구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중기벤처부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