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년 서울 아파트 몸값 상승, 강남 3억 마포 2억(종합)

부동산 대책 내놓은 정부의 고민 깊어지는 이유…1년 새 너무 오른 서울부동산, 시장 안정 정부 약속 의문부호

[아시아경제 류정민 기자] 정부가 부동산 문제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이유는 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급력 때문이다. 부동산시장이 불안하면 경제의 기본 작동 원리가 흔들리는 부작용으로 이어진다.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다양한 해법을 준비하는 이유다. 정부가 규제의 칼날을 손에 쥐면 술렁이는 부동산시장이 안정될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그렇지도 않다. 당장의 시세 변화가 아니라 1년, 2년, 3년, 5년 등 중장기 부동산시장의 흐름을 전망했을 때 '상승'에 무게가 실리면 투자 열기는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반면 당장은 집값이 오르더라도 2~3년 후 내릴 가능성이 크다면 섣불리 투자에 나서지 않는 게 시장의 특성이다. 추석 연휴 이후 시장 흐름은 '관망'에 무게를 싣고 있다. 9·13 부동산 대책의 효과가 나타나기에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도 시장의 신중한 행보를 유도하는 원인이다. 9월 중순까지 이어졌던 추격매수 흐름은 진정됐지만 불씨는 아직 남아 있다. 정부의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는 이유는 지난 1년 부동산 정책 성적표가 신통치 않다는 점이다.

정부가 9·13 부동산 종합대책의 후속 조치로 21일 주택 공급대책을 발표했다. 1차로 구 성동구치소 부지와 경기도 광명, 의왕 등에 3만 5천 호를 공급하고 신도시도 4, 5곳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사진은 이날 서울 도심. /문호남 기자 munonam@

2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해 9월 현재 서울 아파트 중위매매가격은 6억8517만원으로 지난해 9월 5억4670만원보다 1억3847만원 올랐다. 서울 집 한 채를 보유한 유주택자라면 1년 새 보유자산이 1억3000만원 이상 불어났다는 의미다.강남구는 지난해 9월 10억6500만원에서 올해 9월 14억1000만원으로 3억4500만원이나 올랐다. 송파구는 8억3250만원에서 10억8500만원으로 2억5250만원 늘었다. 서초구도 10억4750만원에서 12억9250만원으로 2억4500만원 증가했다. '강남3구'에 아파트를 지닌 사람은 지난 1년 평균적으로 3억원 안팎의 자산이 늘어난 셈이다.올해 부동산시장의 신조어로 떠올랐던 '마·용·성·광(마포, 용산, 성동, 광진)'의 위세도 지난 1년 아파트 중위매매가격 변화 결과로 드러났다. 용산구는 7억3500만원에서 10억150만원으로 2억6650만원 늘었다.강남3구에 버금가는 아파트 값 상승이다. 마포구도 5억3050만원에서 7억4500만원으로 2억1450만원 늘었다. 성동구는 5억50만원에서 6억7700만원으로 1억7650만원 올랐다. 광진구는 5억9750만원에서 7억4600만원으로 1억4850만원 상승했다.매수 타이밍을 저울질하는 이들은 주택시장 안정을 약속하는 정부를 믿고 기다려야 하는지 고민할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매수 타이밍을 무작정 늦췄다가는 더 비싼 값에 아파트를 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안 심리를 잠재우는 게 부동산 정책의 성패를 가르는 관건이라는 얘기다.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