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을 읽다]35년만의 '슈퍼 블루문 개기월식'

국립과천과학관 개기월식 특별관측회 개최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달이 지구에 가까이 접근해 크게 보이는 '슈퍼문'과 한 달에 보름달이 두 번 뜨는 '블루문'이 개기월식과 겹치는 현상이 일어난다. 1982년 이후 35년만이다. 지난 2015년 4월 개기월식은 달이 뜨기 전부터 월식이 진행됐고 2011년 12월 월식은 전 과정을 모두 볼 수 있었지만 슈퍼문, 블루문이 아닌 일반적인 개기월식이었다.월식은 지구 그림자 속으로 달이 들어가는 현상으로 보름달일 때만 나타난다. 달의 일부가 가려지면 부분월식, 전체가 다 가려지면 개기월식이다. 슈퍼문은 미국의 점성술가 리차드 놀(Richard Nolle)이 쓴 말이다. 보름달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고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는데 가장 가까운 근지점에 위치할 때는 원지점(가장 먼 곳) 보름달보다 14% 더 크며 30% 더 밝다. 리차드 놀은 보름달이 근지점 또는 근지점 부근의 90% 범위에 있을 때 슈퍼문이라고 불렀다.블루문은 한 달에 보름달이 두 번 뜨는 현상인데 이는 달이 29.5일을 주기로 위상이 변해 태양의 공전과 비교했을 때 매년 11일 정도의 차이가 생기는 데 따른 것이다. 이 때문에 19년에 7번꼴로 보름달이 한 번 더 뜨게 된다. 1년에 13번 보름달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럴 경우 한 계절에 4번의 보름달이 뜰 수 있으며 이때 3번째 뜨는 보름달을 '블루문'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는데 최근에는 편의상 같은 달에 두 번 보름달이 뜰 때 두 번째 뜨는 보름달을 블루문이라고 한다.이번 월식은 서울의 경우 31일 오후 8시48분6초에 달의 일부분이 가려지기 시작해 9시51분24초에 완전히 가려진 후 11시8분18초까지 약 77분 동안 지속된다. 이후 자정 넘어 새벽 1시10분 월식의 모든 과정이 종료된다. 이번 개기월식을 제대로 관측하기 위해서는 하늘이 탁 트인 곳을 찾는 것이 좋다. 맨눈으로도 개기월식은 쉽게 볼 수 있지만 작은 망원경이나 쌍안경을 사용하면 더욱 선명하고 자세한 월식을 관측할 수 있다. 또한 장시간 관측으로 인한 추위와 피로를 피할 수 있도록 사전에 준비를 철저히 하는 것도 중요하다.이에 국립과천과학관(관장 배재웅)도 35년 만에 찾아 온 슈퍼 블루문 개기월식 관측회를 31일 개최한다. 한국천문연구원,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과 공동으로 관측, 강연, 체험 프로그램 등 다양한 실내외 행사를 운영할 예정이다. 과학관 곳곳에 설치된 30여대의 천체망원경과 해설을 통해 개기월식의 생생한 장면을 체험할 수 있으며 디지털 카메라를 가져오면 과학관의 장비를 이용해 개기월식 사진을 직접 촬영할 수 있다. 또한 한국천문연구원의 이동천문대 '스타카'는 개기월식 전 과정을 대형 영상으로 현장 중계하며 국립과천과학관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서도 개기월식 관측영상이 온라인으로 생중계된다. 배재웅 국립과천과학관 관장은 "많은 관람객들에게 이번 슈퍼 블루문 개기월식 관측이 특별한 경험이 되길 바라며 온가족이 재미있게 즐길 수 있도록 흥미롭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했다"고 했다.올해는 7월28일에도 한 번 더 개기월식이 있다. 이때는 새벽시간에 월식이 시작돼 월식 전체를 다 볼 수는 없다. 다음 개기월식은 2021년에 5월, 2025년 9월에 있다. 이번과 같은 슈퍼 블루문 개기월식은 19년 후인 2037년 1월31일에나 다시 볼 수 있다.김철현 기자 kch@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4차산업부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