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부터 발전설비 부족…5년간 10GW 발전소 건립해야

[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8년 후인 2026년부터 5년 동안 5∼10GW 규모의 발전설비가 부족하다는 전망이 나왔다. 최우석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사업과장은 6일 국회에서 열린 8차 전력수급계획 공론회에서 "2026년부터 5년 동안 5∼10GW 규모의 발전설비가 부족할 수 있어 2026년에는 0.4∼5GW, 2028년 4∼8.6GW, 2030년까지 총 5∼10GW의 발전소를 새로 지을 필요가 있다"고 전망했다.그는 이어 "LNG 인수기지 및 발전소 건립은 8년이면 충분하다"며 "부족한 설비를 이를 통해 보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을 고려하더라도 2025년까지 적정예비율 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며 "안정적인 전력수급이 유지가 가능하다"고 예측했다.적정 예비율은 발전소 고장이나 수요 변동 등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 대비해 정부가 발전설비를 확충해두는 비율을 뜻한다.2030년 적정 예비율을 20∼22% 수준으로 내다봤다. 이는 7차 수급계획의 적정 예비율(22%)보다 최대 2% 낮아진 것이다. 정부는 8차 때의 전력수요가 7차 때보다 감소해 전력설비에 여유가 있다는 이유로 2022년까지 전기요금 인상이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조용성 고려대 교수는 탈원전으로 인한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조 교수는 "환경오염 방지비용 등 석탄발전소 비용증가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확대, 원전 비중 감소에 따라 전기요금이 중장기적으로 인상될 것"이라고 지적했다.조 교수는 또 "온실가스 배출원인으로 지목되는 화석발전소의 탈탄소화를 위해서는 에너지의 상대가격 인상도 불가피한 점이 있다"고 피력했다. 신재생 에너지 발전비율을 늘리는 과정에서 전기요금 인상이 따를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다.세종=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