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트리플악재 습격]금리·규제·물량 '트리플악재' 온다(종합)

-美 금리인상땐 주담대 직격탄-정부 잇단 경고에 시장은 급랭-하반기 이후 입주 물량 부담[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 주상돈 기자]정부가 연일 부동산시장에 '경고 메시지'를 던지면서 시장 분위기가 돌변하고 있다. 일주일 새 서울 강남 아파트의 호가가 수천만 원 내렸고 매매 거래도 자취를 감췄다. 여기에 미국발(發) 금리 인상, 정부의 부동산 규제, 입주 '폭탄'이란 트리플 악재까지 몰려오고 있어 부동산시장의 위기감은 더욱 증폭되는 모습이다. 당장 덮친 악재는 금리 인상이다. 14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지난 3월에 이어 또 한 번 정책금리를 인상할 것이 유력해지자 부동산시장의 긴장도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이 전망대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게 되면 한국 기준금리와 미국 정책금리의 상단은 연 1.25%로 같아진다. 한국 역시 기준금리 인상을 고민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된 것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미국 금리 인상 결정 전인 지난 12일 인상 신호를 보낸 것도 그래서다. '경기가 회복되면'이라는 단서를 달았지만 기존 통화정책과는 확실히 다른 방향을 내비쳤다.  최근 수년간 시장을 떠받친 초저금리 기조가 깨지면 주택시장의 위축은 불가피하다. 금리 인상과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떼려야 뗄 수 없는 문제라 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친다.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만기 10년 이상 분할상환방식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는 지난해 2월 2.98~3.39%에서 지난달 3.08~3.56%까지 오른 상황. 금리 인상으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더 오르면 대출을 받아 기존 주택을 사거나 새 아파트 분양에 나섰던 실수요자와 투자자들이 소극적인 태도로 돌아설 가능성이 그만큼 커진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올해 주택매매가격이 전망과 달리 움직인 가장 큰 이유로 금리를 꼽았다. 허윤경 건산연 연구위원은 "예상과 달리 저금리 상황이 지속되면서 매수심리 위축이 적었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부동산 추가 규제도 향후 시장 전망을 어둡게 하는 요인이다. 정부는 연일 부동산시장에 강도 높은 경고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날 취임 후 첫 경제관계장관 간담회를 열고 "부동산 투기를 좌시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국토교통부도 이날부터 99개조, 231명에 달하는 관계기관합동 현장점검반을 구성해 전례 없는 고강도 조사에 나섰다. 주요 타깃인 서울 강남에서는 공인중개사들이 단속을 피하고자 문을 닫고 영업을 중단하기도 했다. 부동산종합대책도 조만간 발표될 예정이다. 대출 규제인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을 선별적으로 강화하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조기 도입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청약조정대상 지역 확대,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유예 중단 등도 오르내린다. 하반기부터 본격화되는 입주 폭탄 역시 부담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 하반기 전국 22만9708가구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이 중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이 11만9664가구로 52%를 차지한다. 내년에는 올해보다 14.7% 증가한 43만4399가구가 전국 각지에서 입주한다. 최근 5년(2012~2016년) 연평균 입주 물량이 23만8225가구였던 점을 감안하면 20만가구나 많다.  허 연구위원은 "금리 인상이 조만간 현실화할 가능성이 크고 각종 규제와 입주 물량 증가 등이 맞물려 하반기로 갈수록 부동산시장 위축이 불가피하다"고 예상했다. 임병철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책임연구원은 "정부가 내놓는 규제 강도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대출 규제가 이어지면 당장 부동산시장을 식히는 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며 "하반기 입주물량 증가와 미국 금리 인상 등도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주상돈 기자 do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건설부동산부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