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관순 열사. 사진=아시아경제DB
[아시아경제 디지털뉴스본부 송윤정 기자] 3·1절을 맞아 유관순(1902∼1920) 열사의 독립운동 서훈 등급 논란이 재점화됐다.일제강점기 독립 운동의 상징적 인물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유관순 열사의 독립운동 서훈등급은 '3등급'이다. 유관순 열사는 1919년 이화학당 재학 중이던 당시 휴교령이 발령되자 고향인 충남 천안으로 내려와 만세운동을 주도한 뒤 일제의 탄압을 받아 옥사했다.
건국훈장 등급별 서훈자 명단. 사진=국가보훈처 자료 캡쳐
현재 1등급인 '대한민국장'에는 김구, 이승만, 안창호, 안중근 등 30명만이 이름을 올렸다. 2등급 '대통령장'에는 신채호, 신돌석, 이은찬 등 93명이 분류돼있다. 유관순 열사는 3등급인 '독립장'에 분류돼 있으며 3등급에는 김덕제, 김도현, 김마리아, 장지연 등 823명이 선정된 상태다. 1962년 정부가 독립유공자의 훈격을 결정한 이후 여러 차례 조정 필요성이 제기됐다. 손인춘 전 새누리당 의원은 위인의 공적에 대한 재심의를 통해 훈격 조정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 '상훈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지만 본회의를 통과하지 못했다.유관순 열사에 대한 국민적 인식이나 평가에 비해 훈격이 턱없이 저평가됐다는 지적이 계속적으로 나오고 있지만, 훈격의 상향 재조정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그나마 변화가 있다면 의전 규정상 2등급 이상에게만 대통령의 헌화가 가능했는데, 지난 2015년 9월 충남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탑원리 유관순 열사 추모각 영정 앞에 대통령의 추모 화환이 놓였다.디지털뉴스본부 송윤정 기자 singason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디지털뉴스본부 송윤정 기자 singaso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