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1월 실업자 수가 금융위기 이후 최대 수준까지 치솟은 배경에는 그간 한국경제를 견인해온 제조업의 부진이 크다. 장기간 이어진 저성장과 수출 부진, 조선 등 구조조정 여파가 새해 첫달 일자리 성적표에 그대로 나타난 셈이다. 특히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제조업 취업자 수가 7년6개월래 최대 폭으로 감소하며 채용시장은 더 얼어붙는 모습이다.15일 통계청이 발표한 1월 고용동향을 살펴보면 제조업의 부진이 그대로 드러난다. 제조업은 최근 수출의 회복 기미에도 불구하고 구조조정 영향이 커지며 취업자 감소폭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해 7월 6만5000명 줄어들며 49개월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돌아선 이후, 11월 -10만2000명, 12월 -11만5000명, 1월 -16만명으로 감소폭도 커졌다.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조선 빅3는 지난해 직영인력을 7000명 줄인 데 이어, 올해도 1만4000명 감축할 예정이다. 이는 그대로 실업자 증가세로 이어지고 있다.울산 등 구조조정 지역의 실업률 상승세도 지속되고 있다. 조선ㆍ기자재 업체가 몰려있는 울산의 1월 실업률은 3.8%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올랐다. 전남과 경남은 각각 3.7%, 3.1%를 기록했다. 그나마 서비스업 취업자가 30만명대의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질적 측면에서 우려되는 부분이 있다고 입을 모은다. 숙박ㆍ음식업 등에서 자영업자가 확연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기 때문이다. 이는 경기침체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사람들이 치킨집 등 창업에 뛰어들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고용의 양적 지표에는 플러스가 될지 몰라도, 질적 지표와 가계부채에는 적신호가 될 수 있는 측면이다. 더욱이 불황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청탁금지법 시행 등까지 맞물려 향후 전망도 좋지 않다.성재민 한국노동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은 최근 자영업자 증가세에 대해 "최근 경기상황으로 인해 임금근로자 증가세가 위축되면서 대신 자영업을 창업하거나, 한계 자영업자 퇴출이 지연되고 있는 탓"이라고 지적했다. 1월 자영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16만9000명 늘었다. 증가폭도 지난해 10월 12만4000명, 11월 14만1000명, 12월 15만5000명 등으로 커지고 있다. 최근 수출 회복기조가 고용증가세로 이어지고 있지 않다는 점도 우려되는 측면이다. 양현수 고용노동부 노동시장분석과장은 "제조업은 수출회복에도 불구하고 구조조정 영향이 확대되며 고용이 부진한 상태"라며 "수출의 취업유발계수가 소비 또는 투자의 유발계수보다 낮은데다가 제조업 취업유발계수도 낮은 점을 감안할 때 과거와 같은 고용 증가세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기업 채용시장도 꽁꽁 얼어붙었다. 사람인에 따르면 기업 10곳 중 8곳은 최근 불황으로 인해 신규채용에 부담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이대로라면 올해 실업률은 4.0%에 육박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 신정부 출범에 따른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대내외 경제여건이 좋지 않은데다, 정년 60세 적용, 구조조정 본격화, 청탁금지법 여파 반영 등 고용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슈들이 산재해있다. 정부는 청년 일자리대책을 종합평가해 내달 중 보완방안을 발표한다는 방침이지만, 탄핵정국ㆍ조기대선 등과 맞물려 정책동력을 받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노동4법 등 관련 입법 역시 여전히 국회에 막혀있다. 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