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1호 도로 전경(항공촬영) [사진=문화재청]
[아시아경제 김세영 기자] 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은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발굴조사 중인 서울 몽촌토성(夢村土城, 사적 제297호)의 북문지 일원 발굴조사에 대한 성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몽촌토성 북문지 안쪽에서 삼국시대 포장도로 다섯 기와 수혈유구(竪穴遺構, 지면에서 곧게 내려 판 굴모양의 터) 열여덟 기, 구상유구(溝狀遺構, 고랑 모양의 터) 1기가 확인됐다. 북문지 바깥에서는 삼국 시대 도로 1기, 통일신라시대 도로와 함께 수레바퀴ㆍ사람ㆍ소의 발자국 흔적 등이 조밀하게 분포한 생활면 유구 등이 확인됐다. 몽촌토성 북문지 안쪽에서 확인된 다섯 기의 삼국시대 도로는 격자상으로 구획된 포장도로로 확인됐다. 특히, 북문지의 문도(門道)와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1호 도로는 백제가 최초 조성한 후 그 위에 한 차례 더 도로를 개설해 사용했던 중층도로인 점이 확인됐다. 특히 이곳은 북쪽 측구(側溝, 도랑)를 사이에 두고 나란히 진행하는 또 다른 도로와 측구가 있는 것으로 보아 한 개의 도로가 세 개의 노면으로 이루어진 1로 3도(1路 3道)일 가능성이 크며, 백제가 사용한 하층도로와 중층도로를 고구려 역시 증개축(增改築)하여 사용하는 등 시기별로 총 세 차례에 걸쳐 축조된 것으로 발굴결과 확인됐다. 1호 도로의 백제 상층도로는 북쪽으로 약 20m 정도 떨어져 있는 2호 도로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 백제 상층도로에 덧붙여 축조된 고구려 이후 시기의 도로는 북문지 안쪽에서 현재의 회전교차로와 같이 말각방형(抹角方形,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한 사각형)에 가까운 모양으로, 회전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북문지 안쪽에는 회전교차로와 같이 도로를 축조하여 성 안팎으로 출입을 원활히 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구조와 규모의 도로는 우리나라 고대도성유적에서 최초로 확인된 유구이다. 아울러 1호 도로는 북문지 바깥으로 이어져 풍납토성(북성)으로 연결되는 주요 도로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수혈유구 출토 '관'자명 백제 직구단경호[사진=문화재청]
또한, 백제와 고구려시대 토기 등 유물도 다수 출토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7호 수혈유구에서는 백제 직구단경호(直口短頸壺)의 어깨부분에 ‘관(官)’이라는 글자를 좌서(左書, 왼쪽과 오른쪽이 바뀐 글씨)로 찍은 토기 조각이 출토됐다. 이 ‘관(官)’자명 토기는 풍납동토성에서 출토된 적이 있는 ‘대부(大夫)’명 토기와 같은 기종인 직구단경호(直口短頸壺)라는 점에서 흥미롭다. 마지막으로, 1980년대 조사에서도 광구장경사이호(廣口長頸四耳壺)등의 고구려 토기들이 다수 출토되어 고구려가 이곳을 점유ㆍ활용하였을 가능성이 제기됐었는데, 이번 조사결과를 통해 고구려가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도로와 성토(盛土)대지, 수혈유구 등까지 확인됨으로써 이러한 가능성을 좀 더 구체화 할 수 있는 자료들이 확보됐다. 앞으로도 몽촌토성에 대한 장기적인 발굴조사와 연차적인 연구 조사를 통해 2000년 전 백제의 왕도인 서울의 백제역사 복원과 조명을 이뤄나갈 계획이다.김세영 기자 ksy1236@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문화스포츠레저부 김세영 기자 ksy1236@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