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동여담] 막장 세상에 사이다 같은 이야기

 나주는 '작은 한양(小京ㆍ소경)'으로 불렸습니다. 실학자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금성산을 등지고, 남쪽으로 영산강이 흐르니 도시의 지세가 한양과 비슷하다"고 적었습니다. 당시 한양 구경하기가 힘든 전라도 백성들에게 '나주읍성에 가면 한양 갔다 온 것과 같다'는 말이 유행을 했습니다. 다른 이름도 있습니다. '천년 목사(牧使)고을' 입니다. 여기서 목사란 기독교 성직자인 목사(牧師)가 아니라 지방 행정 단위의 하나인 목(牧)을 다스리던 수령을 일컫는 말입니다.  고려 성종(998년)때 전국에 12목을 두었는데 그중 하나가 나주목입니다. 이 나주목을 다스리던 수령(守令)이 나주목사입니다. 지금으로 치면 도지사와 군수의 중간쯤 벼슬이겠습니다. 조선시대에도 600여 년간 호남지역 행정의 중심지였습니다. 전라도 명칭이 '전주'와 '나주'의 머리글자를 따서 유래된 것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지난주 나주 읍성의 자취를 돌아보다가 400여년의 시간을 건너온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백성들로부터 그야말로 절대적인 사랑을 받았던 목사에 관한 것입니다.  나주목이 생긴 이래 1000년. 그 오랜 세월 동안 390여 명의 목사가 내려왔습니다. 그 가운데 유일하게 두 번 부임한 이가 있습니다. 조선 광해군 때 사람인 독송 유석증(1570년~1623년)이 주인공입니다. 나주목사에서 물러나 암행어사로 일했던 그는 9년 만에 다시 나주목사로 부임을 합니다. 이유는 나주 백성들의 로비 때문입니다. 첫 부임 때 그의 선정을 잊지 못한 백성들은 상소를 올려 '다시 보내 달라'고 간청을 합니다. 백성들은 십시일반으로 거둔 쌀 300석을 바치기까지 했습니다.  유석증이 재부임(1619년)하자 이번에는 유임운동이 벌어졌습니다. "유 목사를 계속 있게 해 달라"며 상소와 모은 쌀 2000석을 바쳤습니다. 임기 동안 매년 유임운동이 벌어졌을 정도로 그에 대한 백성들의 사랑은 절대적이었습니다. 당시를 기록한 광해군 일기를 봅니다. "수령을 제수하는데, 모두 뇌물을 받았기에 서로 박탈을 일삼았다. 그러나 유석증은 청백하고 근신하여 잘 다스렸기 때문에 (백성들이) 이러한 청을 한 것인데, 백성의 마음 또한 감동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 한 사람이 있습니다. 퇴계 이황의 학맥을 잇는 학봉 김성일(1538년~1593년)입니다. 그는 나주목사에 부임하자마자 민정(民情)이 막힐까 두려워 정자에 북을 내걸고 백성들과 소통을 시작했습니다. 김성일은 재임기간동안 송사(訟事)를 잘 해결해 억울한 백성이 없도록 해 칭송이 자자했습니다.  나주목사 유석증과 김성일의 다스림이 어떠했기에 이렇듯 백성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을까요. 자세한 선정의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그들을 향한 백성의 사랑만큼은 400여년의 시간을 넘어 전해지고 있는 것입니다.  이 땅에 어찌 이런 벼슬아치가 있었을까요. 이야기를 듣는 내내 존경스럽고 감동이였습니다. 이내 막장 드라마보다 더 막장 같은 작금의 나라꼴에는 한 숨이 절로 나왔습니다.  '최순실 국정농단' 파문이 온 나라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까면 깔수록 더 커지는 대통령과 관료들의 부정(不正), 비선실세의 실체에 모골이 다 송연해집니다. 국민을 우습게 여기는 희대의 국정농단 사건이 펼쳐지는 이런 세상이 개탄스럽습니다. 청렴, 근면하고 백성을 생각하며 소통했던 400여 년 전 목사에 대한 이야기는 그래서 사이다처럼 청량하게 다가옵니다.  조용준 사진부장ㆍ여행전문기자 jun21@asiae.co.kr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