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년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900억 투입

[아시아경제(수원)=이영규 기자] 경기도가 2017년 7월부터 광역버스를 대상으로 '준공영제'를 도입한다. 버스 준공영제는 남경필 경기지사의 주요 공약사업이다. 경기도는 일반버스의 경우 시·군과의 협의를 거쳐 준공영제 시행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남 지사는 28일 오전 9시50분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2014년 정부의 광역버스 입석금지 조치 이후 경기도가 300여대의 버스를 증차했지만 여전히 다수의 도민들은 서서 출ㆍ퇴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문제 해결을 위해 노선조정과 신설, 버스 증차 등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준공영제 도입 배경을 설명했다. 

경기도청

남 지사는 이어 "시도 간을 운행하는 광역버스 특성 상 더 이상 개별 시ㆍ군이 노선을 계획하고 관리하기가 어려워졌다"면서 "출퇴근 문제 해결을 위해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일반버스의 경우 시ㆍ군 차원의 계획이 마련되면 추후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경기도가 추진하는 준공영제는 공영제와는 다르다. 공영제는 말 그대로 버스운영과 노선권한을 행정기관이 갖는 것이다. 이에 반해 준공영제는 민간에서 버스업체를 운영하고, 노선계획 권한을 행정기관에서 갖는 형태다. 버스업체의 적정수입을 도가 보장해 주는 대신 노선변경이나 버스증차 등 관리 권한을 도가 행사하는 방식이다. 수익금 공동 관리형 준공영제인 셈이다. 현재 준공영제를 도입한 자치단체는 서울ㆍ부산ㆍ대구ㆍ인천ㆍ광주ㆍ대전 등 6개 광역시다. 광역 도(道) 중에서는 경기도가 처음이다.  경기도는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에 900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도는 시ㆍ군과 협의해 예산의 50%를 부담하게 된다. 경기도는 현재 154개 노선에 2083대의 광역버스가 운행 중이다. 1일 평균 이용객수는 54만명이다.  도 관계자는 "준공영제는 도민, 시군, 버스업체, 운수 종사자들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만큼 서두르기 보다는 신중하게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내년 7월 광역버스를 대상으로 한 준공영제 시행을 목표로, 버스업체와 시ㆍ군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경기도는 ▲시ㆍ군 및 버스업계 협의(7월) ▲시행(안) 확정 및 사업설명회 개최(8월) ▲시행협약 체결 등 협의과정(11월)을 거쳐 내년 6월 준공영제 시행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이어 7월부터 준공영제를 본격 시행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아울러 광역버스를 이용해 수도권 지역으로 출퇴근 하는 모든 도민들이 바로 앉아서 이용할 수 있는 '굿모닝버스'도 2018년까지 도입한다. 도는 이를 위해 전체 광역버스의 20%를 2층 버스로 확대한다. 또 기다리지 않고 바로 앉아서 버스를 탈 수 있는 좌석예약 서비스제를 도입한다. 아울러 정류장을 최소화하는 광역버스 노선 30개를 새로 만들과 광역버스 운전자에 대한 1일 2교대제를 실시하기로 했다.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