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 최종 기착지 김해…연 4000만명 신 허브로 키운다

김해 신공항 도면

ADPi "경제성, 접근성 등 거의 모든 요소 김해가 가덕도, 밀양보다 우위"국토부, 오는 2026년까지 활주로, 관제탑, 여객터미널 완공…100% 국비 지원[아시아경제 조태진 기자, 이민찬 기자, 주상돈 기자]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결론이었다. 올해 영남권을 들끓게 했던 신공항은 진원지였던 부산 가덕도, 경남 밀양으로 결론나지 않았다. 정부가 의뢰한 용역업체의 선택은 5년 전에 폐기됐던 김해공항 카드였다.정부는 내년부터 김해공항 확장을 위한 기본계획에 착수, 오는 2026년까지 연간 4000만명의 국제 및 국내선 여행객을 소화할 수 있는 허브급 공항으로 육성할 방침이다.국토교통부는 21일 영남권 신공항 사전타당성 검토 결과 김해공항 확장을 최적 대안으로 결론냈다고 발표했다. 국토부는 프랑스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 용역 결과 기존 김해공항을 단순히 보강하는 차원을 넘어 활주로, 터미널 등 공항시설을 대폭 신설하고 공항으로의 접근 교통망도 함께 개선하는 방안이 강구됐다고 설명했다.강호인 국토부장관은 "(용역결과는) 항공안전, 경제성, 접근서, 환경 등 공항입지 결정에 필요한 제반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도출된 합리적 결론"이라며 "기존 김해공항을 단순히 보강하는 차원을 넘어 활주로, 터미널 등 공항시설을 대폭 신설하고 공항 접근 교통망도 함께 개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강 장관은 이어 "지난해 1월 영남 지역 5개 지자체와 수차례 협의를 거쳐 입지평가에 관한 모든 사항을 외국 전문기관에 일임하고 결과를 수용한다는 합의를 도출한바 있다"며 "용역 진행과정에서도 지자체와 함께 착수보고와 중간보고를 받고 지자체와 최대한 소통하면서 용역을 진행해왔다"고 강조했다.용역을 맡은 ADPi 측은 운영 효율성, 경제성, 확장성, 향후 성장 잠재력 등 모든 면에서 김해공장 확장안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고 강조했다.

김해 신공항 위치도.

장 마리 슈발리에 ADPi 수석엔지니어는 "전략적 요소, 접근성, 소음, 환경, 비용 등 여러 요소를 놓고 비교했는데 모두 김해공항 확장안이 최고점을 받았다"고 말했다.ADPi가 추산한 공항 건설비용은 김해공항 확장이 37억8700만달러로 활주로 1본을 갖춘 밀양과 가덕도 신공항 건립에 필요한 41억2200만달러와 67억9400만달러보다 낮았다. ADPi는 공군비행시설을 이전하지 않고도 김해공항의 확장이 가능하며 안전문제도 해소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슈발리에 수석엔지니어는 "김해공항은 기존 시설과 접근성 측면에서도 유리하다"면서 "확장을 통해 향후 필요한 수용 능력을 공급할 수 있다"고 말했다.국토부는 올해 안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하고 내년 중 공항개발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하는 등 김해공항 확장을 위한 후속절차를 추진하기로 했다. 신공항 건설비용은 100% 중앙정부가 지원한다.내년에 공항개발기본계획 수립에 착수, 3200m의 활주로 1본과 연간 4000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의 터미널ㆍ관제탑을 짓기 위한 후속절차를 차질 없이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국토부는 예비타당성조사 등 김해공항 확장을 위한 초기 행정절차 뿐 아니라 영남 지역 거점공항으로서 지역 주민 모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로, 철도 등 연결교통망도 충분히 확충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신공항이 아닌 김해공항이 확장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내 착수가 가능하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이 같은 방향으로 김해공항을 확장하면 사실상 '신공항'으로 재탄생 할 수 있다고 정부는 보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김해공항의 단순한 확장이 아니라 신공항으로 이해해도 된다"고 강조했다. 용역을 수행한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 관계자도 "새로운 활주로와 터미널, 연결도로, 관제탑이 건설되기 때문에 90% 신공항 수준"이라고 설명했다.국토부는 김해공항에 새로운 활주로와 관제탑, 여객터미널이 만들어지면 면적이 270㎢ 수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인천공항(660만㎢)의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다. 공항을 건설하는 데는 행정절차 등을 감안해 10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건설 비용은 아직 구체적으로 추산되지 않았다.조태진 기자 tjjo@asiae.co.kr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주상돈 기자 do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조태진 기자 tjjo@asiae.co.kr건설부동산부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건설부동산부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