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도 국민 정신건강에 '적신호'…관련 인프라 '역부족'

[아시아경제 노미란 기자] 중국과 인도 인구의 3분의 1 이상이 정신 건강에 문제가 있지만, 대다수가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AFP는 18일(현지시간) 영국 의학 전문지 랜싯(The Lancet)과 정신의학 전문지 랜싯·사이키어트리(Lancet Psychiatry)에 게재된 보고서를 인용, 중국과 인도가 선진국에 비해 정신 및 신경학적 문제가 있거나 약물·알코올 등의 남용이나 의존 문제가 있는 인구의 비율이 더 높다고 전했다. 중국에서는 35년 전 도입한 엄격한 산아 제한 정책의 결과로 고령화 인구의 치매 현상이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은 또 우울증이나 불안 장애, 알코올 등의 약물 남용·의존이나 치매 등 상대적으로 흔한 정신 질환 환자의 6%만이 의학적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신 분열증 등 보다 심각한 정신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절반 이상이 치료는 물론 진단조차 받지 않은 채 방치되고 있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논문의 주 저자 중 상하이교통대학의 마이클 필립스 교수는 "특히 중국의 지방 지역에 정신 건강에 관련된 인력이 현저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인도의 상황도 중국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중국·인도와 선진국의 차이는 정신 건강 관리를 위한 지출규모 면에서도 선명한 차이를 보였다. 양국의 의료 관련 국가 예산 중 정신 건강에 배당된 예산의 비율은 각각 1%에 못 미쳤다. 미국이 6%, 독일과 프랑스가 각각 10% 이상인 것과는 대조적이다.  보고서는 중국과 인도의 의료 인프라 부족 현상이 해결되려면 앞으로 수십 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인도의 요가전문가와 중국의 전통의학종사자들은 다양한 전통 요법이 정신 건강을 진단하고 치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노미란 기자 asiaroh@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노미란 기자 asiaro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